지방선거를 맞아 마산해양신도시 용도에 대한 공약이 백가쟁명식으로 흐르고 있다. 애초 마산해양신도시와 가포신항 건설은 불가하다고 시민사회가 매립지에서 농성을 하면서 현 신포동 아이파크 자리를 3·15문화회관과 시민공원으로 조성하라고 요구했다. 현재 3·15문화회관 자리를 아이파크 아파트 자리로 대체하라는 요구가 묵살되면서 마산만 매립의 불행한 역사가 시작됐다. 당시 황철곤 시장의 묵살로 마산만의 파괴와 해양신도시라는 사생아가 만들어졌다. 황 시장 체제하의 부시장조차도 신포동매립지 아이파크와 3·15문화회관 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 검토를 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런 세심한 미래계획을 묵살하고, 기업 편의대로 도시를 기형으로 만들어 통합 창원시가 되면서 그 빚을 고스란히 창원시의 고민으로 넘겼다.

이 시점에서 돌아보아야 할 일은 자유한국당 이주영 의원의 말이다. 그는 2010년 대정부질문 때 "신항 용도 변경과 해양신도시 철회를 요구했다. 그것이 저의 원칙적 입장이었다. 2011년에 결국 해양신도시 면적 축소, 준설수심 조정으로 합의됐지만 저는 정말 많이 아쉬웠다"고 한다. 지난 2월까지도 기획재정부에 신항 용도 변경 검토를 부탁했다는 점이다. 지난 일이지만 현재 지자체 선거를 앞두고 예비후보자들의 해양신도시에 대한 대책은 대체로 2015년 창원시가 제안한 해양신도시를 국제적인 명소로 만들기 위해 서항지구 친수공간조성사업과 돝섬유원지를 연계, 관광·문화·비즈니스가 융합된 개발계획이 요구된다는 주장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 방법은 공약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시민들이 요구하는 개발계획과 더불어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정부차원의 해결방안에는 우선순위가 다르다. 일본도 오랫동안 나라 안 곳곳에 인공섬을 만들어 개발 계획을 세웠지만 실패하고 지금은 시민공원과 조류공원 등으로 다양하게 생태계서비스 차원에서 개발 전략을 바꾸었다. 그렇다면, 당면한 문제는 창원시민 힘을 모아 중앙정부를 움직이는 수밖에 없다. 우선 후보자들은 개별 공약보다 시민들의 뜻을 모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지속발전계획을 정부가 세우도록 압박할 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