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남해대교냐 아니면 노량대교 또는 충무공대교냐를 놓고 지역 간에 분쟁을 거듭해온 남해-하동 주민들의 갈등이 교량 명칭 확정 후에도 전혀 수그러들지 않아 걱정된다. 국가지명위원회가 최근 다리 이름을 '노량대교'로 결론을 내린 데 대해 남해군 민관합동대책위원회는 남해 지역명이 빠진 채 결정된 작명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앞으로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주민 불복투쟁을 전개할 것임을 선언함으로써 결기를 재다짐했다. 구체적인 추진방향이 소개되지는 않았으나 예컨대 행정소송을 불사하고 청원이나 이의신청을 제기하는 외에 군민 서명운동을 통해 지역민심을 한곳으로 모아가는 등 다각적인 방법론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계획대로 진전된다면 노량해전으로 유명한 다리주변 임진왜란 역사 유적지가 또 한차례 풍파를 면치 못하게 된다.

남해군이 반발 명분으로 삼는 바와 같이 육지와 섬을 잇는 교량에는 소재지 정체성을 알리려고 섬 지역명을 붙여주는 것이 보통이다. 기존의 남해대교가 그렇고 부산과 거제를 잇는 거가대교도 속성은 마찬가지다. 삼천포∼남해 간 연륙교는 그런 이치를 좇아 양 지역명을 아우르는 절충점을 찾은 데서 보듯 지역명이 빠진 대교 명칭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이 나름대로 설득력을 갖는다. 반면 하동 쪽에선 교량의 연결점이 하동 노량과 남해 노량으로 공통의 지역명을 안고 있어 명칭의 상징성이 훼손되지 않는다는 반론을 편다. 그것 역시 상식선에서 벗어난 주장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런 첨예한 대립 때문에 파생된 이웃 지역 간 주민불화가 예사롭지 않았던 전례를 고려하면 분쟁의 장기화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조정의 당사자는 경남도일 수밖에 없다. 세 차례나 회의를 열었으나 자력으로 이름 짓는 것을 포기하고 중앙으로 책임을 떠넘긴 경남도가 역할을 제대로 해낼지는 의문이지만 강 건너 불구경하듯 방관할 일은 아니지 않은가. 도의회도 그냥 있어서는 안 된다. 조기 봉합을 위해 광역적 통합기능을 발휘하여야 한다. 남해 민관대책기구의 법적 행정적 자구 수단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살피면서 이웃단체 간 화합을 꾀하는 길이 무엇인지 입장을 정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