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선 등 인공지능 기반 게시물 생성
부당한 영향력 막으려면 적극대처 필요

2016년 10월 CNN머니에 트위터봇(트위터+로봇)에 관한 이야기가 실렸다. CNN머니에 따르면 영국 옥스퍼드대학 연구진의 조사 결과 미국 공화당 대통령 선거 후보인 트럼프를 지지하는 글의 3분의 1가량, 민주당 후보 힐러리를 지지한 글 중 5분의 1이 이른바 인공지능(AI)에 기반을 둔 트위터봇에 의해 작성됐다고 한다. 이 연구진은 2016년 9월 26일 트럼프와 힐러리의 1차 TV 토론회가 끝난 뒤 트위터에 올라온 900만 건의 트위트 해시태그를 분석했다고 한다. 여기서 트위터봇은 하루에만 50개 이상의 게시물을 올린 트위터 계정을 가정했으며 트위터 사용자를 사람으로 가장해서 운영되는 자동 트위트 생성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와 비슷하게 2017년 11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홈페이지에 올라온 일반 시민의 게시글과 댓글을 분석한 여론조사를 두고도 논란이 일었다. 미국 온라인 매체 쿼츠는 "FCC 홈페이지에 망중립성 원칙을 폐기해야 한다고 올린 게시물 중 상당수는 스팸 봇에 의해 조작된 글이며 FCC는 시민이 아니라 봇이 만든 여론에 따라 정책을 결정한 셈"이라고 지적하였다. 위의 두 가지 사건으로부터 온라인 여론 환경을 둘러싸고 여론 조작이라는 주제가 제기되고 있다. 즉 2000년대 이후 게시판이나 SNS를 정치적 목적 혹은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 여론과 정책에 영향을 미치려는 은밀한 시도가 계속해서 밝혀지고 있다.

먼저 온라인 세상에 대한 여론 조작 시도는 1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표적으로 2009년 5월 다음 아고라에서 자동클릭 프로그램(클릭봇)을 활용해서 토론방 게시물의 조회 수를 비정상적으로 부풀려서 해당 글을 주간베스트와 월간베스트에 노출한 사례가 있었다. 그리고 2012년 선거 시기 국가정보원 직원들도 트위터 계정을 만든 후 주기적으로 글을 트위트하거나 리트위트하는 작업을 '자동전파프로그램(트위터봇)'으로 수행했다는 점이 밝혀진 바 있다.

두 번째로는 이른바 AI에 기반을 둔 다양한 봇프로그램의 출현과 이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이다. 앞으로도 여론과 정책에 부당한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와 이를 규제하려는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최근에는 기술발전에 따라 기업의 고객응대도 콜센터 직원이 아니라 봇프로그램이 대신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필요한 기술적 진화와 달리 앞으로는 정책 결정이나 선거와 같은 여론 형성에 봇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을 불법화하고 규제할 가능성이 크다.

이건혁.jpg

마지막으로 소비자와 시민으로서 건전한 여론 환경이 유지되도록 관심을 가지는 것 이외에 네이버와 구글과 같은 온라인 기업도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구글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인간인지 아니면 로봇인지 구분하는 새로운 기술을 선보인 바 있다. 이처럼 새로운 기술 진화에 맞게 소비자와 기업, 그리고 국가는 각자 필요한 일을 충실하게 할 때 기술의 공공적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