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무 새미래정책연구소장 주최 포럼…전문가 R&D 센터 설치 주문도

허성무 새미래정책연구소장이 주최한 '창원시 방산강소기업 육성 포럼'에 참석한 국내 방위산업 핵심 관계자들이 "예전이나 지금이나 창원의 방위산업 규모가 크게 변한 게 없어 안타깝다"는 의견을 피력하며 "지자체와 중소기업이 연계한 새로운 모멘텀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창원컨벤션센터에서 7일 열린 포럼에서 허성무 소장은 "미래를 담보할 창원형 강소 방산기업 육성 방안을 찾기 위함"이라며 포럼 개최 의미를 밝히는 한편 "경남과 창원 경제가 장기 저성장 상태로 들어간 이때 첨단기술과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갖춘 방위산업 육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참여정부 때 방위사업청장을 역임한 이선희 전 청장은 축사를 통해 "청장으로 재직할 때 창원에 몇 번 와 봤다. 지금은 얼마나 발전했을지 궁금해서 다시 창원을 찾았는데, 그때보다 엄청나게 발전해 있을 것으로 알았지만 그렇지 않아 섭섭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창원이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핵심 도시이자 메카인 건 변함이 없고, 창원이 정체하고 있다는 건 우리나라 방위산업 성장이 그만큼 늦어지는 것"이라며 창원이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핵심 동력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7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방산강소기업 육성 포럼' 모습. /임채민 기자

이 전 청장의 이런 지적은 원용구 전 국방과학연구소 사업부장의 진단에서 더욱 구체화됐다. 원 전 사업부장은 "37년간 연구소에 근무하면서 미사일 개발 분야를 담당했고 창원에도 많이 다녀갔다. 그런데 창원이 잘 돌아갈 때는 복잡하기가 그지없었는데 요즘은 한산해진 느낌이 있어서 애달픈 생각도 든다"고 밝혔다.

원 전 사업부장은 "창원이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60%를 차지하고 있지만 새로운 모멘텀을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지자체와 업체 간 힘을 모을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그 중심은 대기업보다는 중소벤처 기업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정부의 국방예산 대비 방위산업 일자리 창출 효과는 낮은 것으로 평가되는데 이는 수입 위주 방위산업 전략에 기인하고, 내수시장은 대기업에 편중돼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원 전 사업부장은 "문재인 정부의 방위산업 활성화 방향은 수출형 산업구조로의 전환,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맞춰져 있는 만큼 중소기업에 기회가 올 수 있다"며 "핵심 기술 부품을 만들 수 있는 실질적인 R&D(연구·개발) 센터가 들어서야 한다"고 밝혔다.

장성 출신인 성영민 국방정책 자문위원은 중국의 시진핑 체제가 한국 방위산업에 새로운 활로로 작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성 자문위원은 "중국의 군사 굴기는 방위산업 육성으로 연결돼 한국 수출 시장을 잠식할 수도 있겠으나 또 한편으로는 고부가가치 품목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며 "중국 군대의 현대화 전략에 따라 선박엔진, 티타늄 합금, 탄소섬유 등 한국의 우위 산업이 진출할 기회"라고 밝혔다.

'창원형 중소방위산업 발전방향'이라는 주제로 발제에 나선 이효재 엠스코 부사장은 전문가들이 제안한 '실제적 R&D 센터' 유치와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이 부사장은 "그동안 수없이 많은 클러스터가 만들어지고 창업보육센터가 있었지만 현장에서 보면 잘 이루어진 게 거의 없다"며 "경남 국방벤처센터가 있지만 접근 자체도 어렵고 그 효과도 의문"이라고 진단했다.

이 부사장은 "경상북도에서는 2024년까지 방위산업 분야에 728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이 역시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모르겠으나, 한 가지 분명한 건 구체적인 지원이 없는 육성 프로그램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