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미래농업을 선도할 정예인력을 키우고 여성농업인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농촌공동화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농업인력 확보와 농촌복지 지원 정책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얼마 전 발표된 문재인 정부의 농정과제 중 여성농업인과 직접 관련이 있는 정책은 영농·가사도우미 지원 확대 및 여성농어업인 대상 특화 건강검진 시범시행 등이 전부로 성평등 사각지대인 농어촌 지역의 여성을 위한 정책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자치단체 발표인 셈이다. 그러나 여성농민들은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면서, 정부에 '여성농민 정책 전담부서' 설치를 요구해왔다. 도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여성농민을 위한 제도는 출산과 관련해 '농어가 도우미'와 건강관리·문화·여가를 위한 복지카드 '농업인 브라보 바우처' 2가지가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농촌에서 출산하는 여성농민이 없는 상황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이다. 또 여성농민이 병원에 가거나 교육을 위해 자리를 비워야 하는 경우에는 도우미 제도가 지원되지 않는다. 올해 시행된 바우처 제도는 지원 범위와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1년에 1인당 10만 원을 지원하는 복지카드는 사용처가 모호해 여성농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또 65세 미만 여성농민에게만 발급돼 고령화된 농촌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이런 탓에 여성농민들이 필요한 정책을 직접 제안할 수 있도록 전담부서 설치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여성농업인 실태조사를 보면, 여성농업인의 92.9%는 농촌에 계속 거주할 의향은 있으나, 생활 인프라 부족으로 불편함과 노동이 힘들고 소득이 낮다는 것은 현실이다.

따라서 여성농업인의 당면과제는 농업소득 확보와 과중한 노동 부담 경감을 들 수 있고, 여성농업인 정책의 제도나 사업에 접근성을 높이는 노력이 시급하다. 결국 여성농업인 정책은 가계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농가, 남녀차별이 남아있는 농촌사회에서 여성농업인이 재량껏 능력을 발휘하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일이다. 덧붙여 먹거리 안전 문제 등으로 소비자도 농업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도농교류, 로컬푸드 등 소비자 요구에 대응할 주체로서 여성농업인 역할증대 방안으로 전담부서 설치도 고려할 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