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중 지역 소외 현상 심각
분권 개헌 등 지역민 역할 의견을

창원시에 살면서 자주 가는 동네도서관이 몇 곳 있다. 고향의 봄, 마산, 명곡도서관이다. 그곳에 갈 때마다 나는 언제나 똑같은 책 대출 검색어를 친다. '지방', '지역'이다. 검색되는 책은 그때마다 똑같다. 도서관별로도 천편일률이다. '지방자치…', '지방자치학…', '지방분권…', '지방(지역)문화…' 도서관마다 배치된 책이 갑자기 팍 느는 것도 아니고, 답은 빤한데 계속 같은 검색을 하는 이유가 있다. 지방과 지역에 대해 좀 더 폭넓고 깊이 있게 서술한 책이 혹시 새로 들어오지 않았을까 하는 기대 때문이다.

같은 노력은 동네서점에서도 반복된다. 아무래도 서점에 가면 관련 서적이 좀 더 많아진다. 심지어 '지역학', '지방학' 서적까지 보인다. 김선호 저 <지역학이란>, 김복래 저 <프랑스 지역학 연구>, 한국외대지역학연구회 <지역학 현황과 과제> …. 지방학은 지역학과 비슷하다. <서울학…>, <부산학…>, <인천학…> 같은 자료가 보인다. 하지만, 그 내용은 특정한 분야에 한해 깊이가 있을지언정, 폭넓지는 않다.

내가 도서관에서, 서점에서 원했던 책은 '지역론(지방론)'이다. 국가론을 보면 국가의 기원부터 기능과 요소까지, 그리고 국가주의·자유주의·목적론 등 국가의 분석틀까지 나와 있다. 그런 식의 지역론을 만나고 싶었다. 왜? 지역이, 지역소외가 좀 더 본격적으로 다루어졌으면 싶었다. 국가의 부속이나 변방, 향토 차원이 아니라 국가의 핵심 단위로, 또 국가와 상대적 관계 속에서 정의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래야 지역의 본질을 바로 볼 수 있고,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지역과 통일에서 성장 돌파구를 찾을 수밖에 없는 한국에서는 특히 더 그렇다.

그래서 내가 내린 결론은 직접 지역론(지방론)을 쓰자는 것이다. 지역의 기원, 기능, 요소… 이런 식으로 총론을 쓰진 못해도, 지역 현실과 지역민 인식에 근거해 '지방자치'를 중점적으로 다룬다는 것이다. 그 맥락에서 쓰고 있는 것이 매주 월요일 연재되는 '이제는 분권이다' 시리즈다. 올해 6·13지방선거와, 또 동시에 할 가능성이 있는 개헌을 계기로 지역에서는 최대 이슈로 부각한 '지방분권'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또 다른 한 축은 '지역시민'이다. 지역문제의 해결 주체인 시민이 지역에 사는 삶의 정체성을 따지고, 대책을 마련하거나 개선하는 현장을 찾고 있다.

이일균.jpg

지역과 관련한 다양한 소재의 독자 기고도 경남도민일보 메일(sori@idomin.com)로 받고 있다. 지역시민이 지역문제를 말하지 않는데 누가 말할까? 지역시민이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지 않으려 하는데 누가 문제를 해결할까? 정부? 국회의원? 언론? 그들 대부분이 서울에 있는데 적극적으로 나설까?

특히 그게 돈과 권력으로 대표되는 기득권인데 순순히 내놓을 리 없다. 더구나 자유한국당은 집권 민주당의 정략이라면서 지방선거와 동시 개헌투표를 거부하고 있다. 이럴 때 지역시민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를 다룬 기고를 부탁드린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