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이래서야' 한탄 '통합 탓' 귀결
지방선거 앞두고 미래상 고민 희망적

2018년 지방선거에서 창원시장으로 당선될 인물은 큰 변수가 없는 한 2020년 통합 10주년을 맞이하는 맨 앞자리에 서야 한다. 마산, 창원, 진해라는 세 도시가 하나의 도시로 합쳐진 지 10년. 많은 시민의 감회가 남다를 수밖에 없을 터이고, 개인적으로도 통합 10주년 행사가 성대하게 치러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러나 현 상황에 기반해 2년 후를 예측해볼 때 '통합 10주년'의 모습은 그리 밝아 보이지만은 않는다. 축제 팡파르가 울릴지도 의문이다. 통합 이후 창원시 인구는 줄곧 줄어들고 있고, 특히 20∼40대 젊은 사람들의 유출이 가속화하고 있다. 도시 인프라는 제자리인데 집값만 높으니 젊은 사람들이 창원에 무슨 메리트를 느끼겠느냐는 말이 20∼40대 술자리를 채운 지는 오래됐다. 그나마 이 지역 경제를 지탱해오다시피 해온 창원공단은 조선산업 침체 여파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 경제는 활황이 예상된다고는 하는데, 창원만 예외 지역이 될 수 있다는 암울한 소식만 들려온다. 미래에 대한 희망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많지 않고, '창원이 이래서야 되겠느냐'는 한탄이 넘쳐난다. 창원에 대한 한탄은 돌고돌아 '통합 탓'으로 귀결되곤 한다.

창원시청으로 눈을 돌려보자. 시청에 있는 각 조직은 인구 40만∼50만 도시를 관장하던 규모에서 크게 확대되지가 않았다. 창원시 대다수 공무원은 5개 구청과 각 읍면동에서 일하고 있다. 인구 40만∼50만 도시를 운용하던 조직이 여전히 100만 도시를 담당하고 있고, 많은 수의 공무원은 일선 구청에서 단순 집행 업무를 하는 게 대부분이다. '곳곳에 구멍이 뚫린다'는 표현은 공무원들 스스로가 하고 있다. 큰 그림은 엉성하고 작은 그림은 뭔가 맥락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각 구청에서 역점 시책이라고 내세우는 것 대부분은 시청에서 하달하는 주요 시정에 대한 캠페인 활동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데 '복지부동'이라고 비난만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창원시 공무원 인사와 보직 시 '4(마산)4(창원)2(진해)'라는 원칙(?)이 적용되고 있고, 창원시 공무원노조는 여전히 마산위원장·창원위원장·진해위원장 세 명을 선출하고 있다. 창원시의회는 소속 정당과 관계없이 창원파·마산파·진해파로 갈라지곤 했다. 적어도 시청과 시의회에서 '시민 통합이 안 된다'는 진단을 내놓을 수는 없는 일이다.

안상수 시장은 이같이 중첩된 모순을 해결하고자 '창원 광역시 승격' 카드를 꺼내 들었다. 하지만 그 운동의 성과 유무를 떠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진단하는 시민이 여전히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건 지방선거를 앞두고 창원 미래상을 그리기 위한 정책 경쟁 분위기가 서서히 고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임채민.jpg

현 시장을 포함해 후보군의 토론 열기는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워질 것이라 확신한다. 벌써부터 다양한 진단과 청사진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그만큼 두눈 부릅뜨고 귀를 쫑긋 세울 때가 됐다. 희망은 보일 것이다. 그게 선거의 묘미이기도 하니까.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