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지역 주민·비정규직 노동자들
부조리에 고통받는 이 '남' 아닌 '우리'

"이 추운 겨울에 쫓아내는 것은 죽으라는 것과 똑같다."

지난주 창원시 마산회원구 한 재개발구역에서 마지막 남은 집이 뜯겼다. 주민은 30년 넘게 살아온 집에서 조금 더 있을 수 있게 해달라고 하소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 주민은 "우리는 재개발 동의를 한 적도 없는데 왜 이렇게 쫓겨나야 하느냐"고 했다. 조합 측은 여러 차례 연기를 거쳐 자진 퇴거한 것이라고 했다.

자동차를 만드는 한국지엠 창원공장 노동자 86명이 해고를 당할 처지에 놓였다. 한국지엠과 도급계약이 끝난 하청업체는 38명에게 해고예고 통지를 했다. 계약해지를 앞둔 다른 하청업체 2곳을 더하면 한겨울에 쫓겨날 비정규직은 86명이나 된다. 고용보장을 요구해온 비정규직에게 돌아온 건 해고다.

모든 사람에게 행복추구권이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먹고 자는 것이다. 일자리와 집이 있어야 행복은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인간으로서 존엄을 지키며 살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여전히 이 같은 최소한의 필수요건마저 갖기 어려운 세상에 살고 있다. 촛불혁명으로 정권이 바뀌었지만 세상의 변화는 더디다. 잘못된 곳으로 돌진하던 관성은 쉽게 바뀌지 않고 있다. '법대로 한다'는 식으로 인간의 자존을 무너뜨리는 행태가 되풀이되고 있다. 그 중심에 사람과 공동체의 소중함보다 돈을 앞세우는 물욕이 있다.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질 높은 주거환경을 만들기 위함이라는 재개발 사업 방식은 그대로다. 낡은 것을 싹 밀어버리고 고층 건물을 세우는 물욕은 아파트공화국에 가속을 붙여왔다. 다수가 동의한 재개발은 공익사업으로 탈바꿈되고, 그 과정에서 반대자는 고립된다. 한동네 어우러져 살던 도심속 공동체는 박살 난다. 원주민도 내쫓기는데 세입자는 버틸 재간이 없다. 저항하는 반작용이 크면 부작용도 드러나는 법이다. 몇몇 땅소유주, 건설업자, 정비업체 등을 둘러싸고 돈이 오가거나 허위 서명부 같은 비리가 터진다. 자치단체는 뒷짐질뿐이다. 옆 동네서 누군가 감옥 가고 탈이 나더라도 욕심은 쉬 사그라지지 않는다.

노동자에게 해고 칼날을 휘두르는 건 어떤가. 몸집을 불렸다 필요 없어지면 먼저 잘려나가는 게 비정규직이다. 내쫓기면 살길이 막막한 세상에서 고용시장 유연화라는 말은 쉽게 돈 벌 수 있게 자본을 위해 쳐놓은 안전판이다. 한국지엠도 그렇다. 비정규직 불법파견으로 처벌을 받았는데도 정규직 전환 이행은커녕 해고를 들이민다. 고용이 불안해진 정규직 노동자는 자신이 잘릴지 모르니, 비정규직 해고에 말도 못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갈등구도를 만들며 자본은 뒷짐 지고 있다.

표세호.jpg

촛불혁명은 공감에서 시작했다. 정의가 내동댕이쳐진 세상을 만든 탓이 나에게 있다는 성찰과 부조리에서 고통받는 이들의 아픔을 나 몰라라 하지 않은 힘이 뭉쳐 이뤄낸 것이었다. 쫓겨나는 사람들 이야기는 '남'이 아니라 '우리' 이야기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