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게요. 그것도 걱정입니다." 지난해 4월 총선 개표과정에서 발생한 '사전투표 새누리 몰표 사건'을 해명하던 선관위 공무원에게 "총선 개표과정에서 벌써 이런데, 지방선거에서는 괜찮겠습니까?"라고 질문하자 돌아온 답변이었다. 내년 6월 13일 지방선거에서는 도지사, 교육감, 시장·군수 등 단체장과 도의원, 시·군의회 의원을 선출한다. 투표지만 6장인 복잡한 선거다. 거기에 개헌 국민투표까지 이뤄지면 7장, 국회의원 보궐선거까지 열리는 곳은 8장에 이른다.

투표도 문제지만 개표도 문제다. 부재자투표, 사전투표, 본투표 등 같은 선거에 투표함만 3개에 이른다. 지난 총선 투표용지는 지역구 국회의원·정당 비례대표 2장에 불과했지만, 예전에 없던 사전투표로 개표과정이 훨씬 복잡해졌다. 개표과정에서 어떤 실수가 일어나더라도 워낙 투표용지가 많아서 모르고 넘어갈 수도 있다. 최악에는 적은 표차로 결정되는 기초의원 선거 같은 경우 당선자가 잘못 결정되고도 모르고 넘어갈 수 있다.

투표 참관인들도 문제다. 노령층이 많은 곳에서 참관인은 제 기능을 못할 수 있다. 원칙대로라면 참관인 2명이 6시간씩 교대로 참관해야 하지만, 노령층이 많은 곳은 정당에서 1명 구하기도 쉽지 않다. 어르신 1명이 12시간을 보니 집중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지난 대선과 총선 때 투표과정에서 이상하다는 제보가 여러 건 왔지만, 참관인들이 보지 못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임종금.jpg

지방분권 개헌이 이뤄지면 지방선거에서 선출해야 할 사람은 갈수록 늘어날 것이다. 선거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도 우려되고, 투개표 과정에서 혼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분명히 있다. 해법은 참관인 풀을 운영해 노령층이 많은 투표소에 참관인을 파견하고, 개표과정에서는 많은 정치선진국들처럼 투표소 현장서 바로 개표하고, 각 투표소 개표결과를 취합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