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난 27일 경영위기에 빠진 중소조선소 지원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경남도의 이런 결정은 때늦은 감이 있긴 하다. 그래도 광역자치단체가 직접 나서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요구를 정리하는 일은 그동안 중앙정부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다시피 했던 조선업 구조조정 문제의 가닥을 잡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위기상황에 놓인 중소조선업체들이 자신의 처지만 호소하기보다 하나의 창구로 목소리를 조율하고 요구하는 과정은 필요하다. 지역민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여론을 형성하기 위한 집회나 캠페인은 위기의 조선업체 당사자들의 몫이다. 자신들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직접 행동을 무어라고 비난할 수는 결코 없다. 오히려 당사자들의 절박한 호소나 요청은 대책을 세우는 데 필수불가결한 전제조건이다. 이런 상황에서 오히려 행정당국이 강 건너 불구경하는 태도를 보이는 건 문제가 있다. 2015년 기준 경남도내에서 제조업 생산액 142조 원 가운데 조선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22.2%(31조 원)에 달하고 있고, 통영·거제시에선 전체 제조업 생산액의 90% 이상이 조선업이다. 즉, 조선업이 경남의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야말로 지대하다. 바로 이런 현실에서 조선업의 위기는 경남경제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업이 지닌 산업연관 효과까지 고려하면 경남도 입장에서 조선업 구조조정을 시장에만 맡겨선 곤란하다. 오히려 정부가 직접 개입하여 가급적 충격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유도하여야 한다. 특정 조선업체의 경영진이 잘못한 문제이니 당사자들이 해결하라고 내버려 두어선 곤란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런 방안에 동의할 경우 경남도의 몫과 역할 역시 재고돼야 한다. 즉, 단순히 중앙정부에 의지할 게 아니라 경남도 역시 중소조선소의 정상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예를 들어 부실조선소의 합병과 통합을 위해 광역자치단체가 지분투자를 하는 방식까지 고려하면서 기업의 운명을 정상화 이후 결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중소조선소들은 현재 유동성 위기와 더불어 앞날을 예측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다. 이런 현실에서 미래를 내다보면서 방향을 잡아가는 조타수의 역할을 경남도가 하는 건 분명히 좋은 일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