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음료제조업체 공장에서 현장 실습하던 학생이 사망한 사고는 우리 사회가 여전히 후진적 형태의 산업안전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 안전에 대한 제도가 얼마나 취약한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우리 사회는 아직도 세월호의 아픔이 여전하며 마땅히 보호받아야 할 청소년들이 죽음으로 내몰리는 현실에 대한 충격도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이번 사고를 끝으로 청소년 안전에 획기적인 대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정부와 교육당국은 스스로 무능을 드러내는 것이며 그 책임을 져야 한다. 전국적으로 추모가 이어지고 있고 경남에서도 추모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는 이번 제주 현장실습생의 안타까운 사고는 실습생 한 개인의 안전사고로 규정할 수 없다. 특성화고 현장실습이 교육적 차원에서 이뤄지지 않고 학교의 실적 쌓기가 되어버린 결과이며 그 과정에서 학생 인권은 무시되고 노동착취가 있었다면 우리 사회가 반성해야 하며 최종적으로는 국가가 책임져야 할 죽음이다. 우리나라는 가뜩이나 산업재해 비율이 높다. 이런 현장에 학생들을 실습이라는 명목으로 내보내는 것은 사실 지극히 위험천만한 일이다. 국가는 더 철저한 규정을 만들고 교육당국이 세심한 관리를 해도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막는 것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상황이 이런 것을 정부와 교육당국이 모르는 것도 아닐 것이다. 해마다 실습생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그때마다 무슨 조치들은 언제나 있었다. 그러나 사고는 또 일어났다. 정부와 교육당국의 현장실습 관리에 허점이 있었다는 것을 이번 사건은 보여주고 있다.

경남도 안전지대는 아니다. 경남교육청은 현장실습을 나가기 전에 사전교육을 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그것이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 철저한 검토부터 해봐야 한다. 지난 3년간 사고 2건이 있었다. 큰 사고는 아니었지만 교육적 차원의 현장실습에서는 아예 없어야 할 사고이다. 안전이 확보된 현장실습만 이루어져야만 하며 교육당국도 발로 뛰는 현장위주의 관리를 해야 한다. 생애 첫 직장에서 죽고 싶지 않다는 절규에 교육당국이 가장 아파해야 하고 이제 그 종지부를 찍을 책임이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