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정책연구개발기관인 경남발전연구원이 위상회복을 위해 개혁드라이브를 걸기로 작정한 사정은 이해되고도 남음이 있다. 홍준표 전 지사 때 임명된 원장 4명 중 한 명만이 대학교수 출신으로 객관적 타당성을 인정받았을 뿐 나머지는 정치권에 속했거나 정책연구와는 거리가 먼 안보관련 활동가들이었다. 임용 당시 전문성 논란이 거셌고 그 결과 낙하산인사라는 비판에 직면함으로써 연구원의 기능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컸다. 그 기간 연구원이 수행한 지역발전 분야 연구과제가 실적 면에서 정확하게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연구인력이 타 시·도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나 기본역할보다는 업무외적 영역에 더 치중하지 않았는지 의심을 샀다고 할만하다.

근년 들어 관행이 되다시피한 그 같은 잘못을 바로잡을 직접 당사자는 경남도다. 한경호 대행이 전에 없던 정책연구협의회를 열어 조직개편과 인적쇄신을 천명한 연유도 더 이상 늑장을 부려서는 안 될뿐더러 연구직 직원들의 의욕이 떨어지는 것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절박함에서 나왔을 것이다. 연구원들이 사무처장의 그늘에서 벗어나 원장 직속으로 재편하는 방안 역시 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한 중요한 쇄신과제가 될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본연의 모습을 되찾아 오로지 연구업무에만 전념할 수 있는 분위기로 이행될 수만 있다면 일단은 성공 가능성을 예감할 수 있을 것이다. 권한대행이므로 정치적 관성에 매몰되지 않고 소신껏 밀어붙일 수 있는 장점도 없지 않다. 그러나 과연 소기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그것이 관건이다.

조직개편과 인적쇄신이 잃은 신뢰를 되찾는 출발점이라는 데는 동의한다. 하지만 문제는 사람이다. 제도보다 그것을 운용하는 사람의 품성이 곧 만사를 좌우한다는 것은 철칙이다. 도덕성과 인격이 겸비된 인물이 적재적소에 배치돼야 하고 임명된 후에는 윗사람 눈치 보지 않고 제 할 일에 충실해야 한다. 그러자면 능력과 함께 자질이 검증되야 한다. 제3의 기구를 통해 그걸 제도화할 수 있다면 폐해는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본질적 문제를 관통함으로써만 인사권자의 권한 남용을 예방할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