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아카데미 개설 등 물질 배우려는 사람 늘어
잇단 익사사고에 예방 정책 요구 목소리 확산

도내에서도 나잠어업(해녀) 양성과 권익보호 움직임이 일고 있지만 사고 또한 잇따르면서 안전사고 예방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녀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도내에서는 거제 등을 중심으로 해녀아카데미가 만들어지는 등 해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많은 젊은이도 앞다퉈 해녀아카데미 등에 문을 두드리고 있다.

하지만 해녀들의 작업과 안전 대책 등은 여전히 과거 방식에 머물러 있다. 이 때문에 사고도 계속해서 이어진다.

지난 10월 31일 거제 지세포항 앞바다에서 물질을 하던 20대가 안타깝게 익사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거제 해녀아카데미 과정을 수료한 초보 해남 김모(24) 씨는 오전 10시 30분께 동료 해녀 8명과 물에 들어갔다가 오후 3시께 물 위에 떠오른 채 발견됐다. 동료들이 김 씨를 배로 올려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서 인근 병원으로 옮겼으나 숨졌다.

사고 당시 이들을 태워왔던 어선은 현장에 없었으며, 아쉽게도 동료들도 김 씨와 떨어져 있어 도움을 주지 못했다.

앞서 지난 2월 6일에는 거제시 남부동 탑포리 앞바다에서 물질을 하던 노모(70) 할머니가 숨진 채 발견됐다. 해경과 소방당국은 노 할머니가 바다에 들어간 이후 보이지 않는다는 신고를 받고 한 시간가량 수색한 끝에 숨져 있는 할머니를 발견했다.

현재 도내에는 818명이 나잠어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거제와 통영에 가장 많은 해녀가 분포해 있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뾰족한 안전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해녀가 많은 제주도에는 행정기관이 앞장서 이들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안전감시 요원 배치, 주황색 해녀복 지원, 해녀안전 지킴이 장치 지원, 해녀 명퇴금 지원, 안전사고 줄이기 운동(신속한 구조, 하루 3∼4시간 조업, 2인 1팀, 어업소득 나누기, 약물복용 조업 금지)과 교육 등이 대표적이다. 위치확인 시스템 보급을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숨진 김 씨의 아버지 김성우 씨는 "당시 상식선에서의 안전수칙만 지켜졌어도 아들은 죽지 않았을 것"이라며 "선주는 현장을 지키지 않았고, 취업 계약서 같은 것도 없었다. 또 빨리 조치를 받았다면 살아날 수 있는 긴급한 상황에서 나머지 해녀들을 배에 태우느라 소중한 시간을 허비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해남이 되고 싶어 이곳으로 왔던 아들은 그 꿈을 채 피워보지도 못하고 숨졌다. 하지만 이미 죽은 아들의 사고와 관련해 잘잘못을 따지려는 것은 아니다"며 "최근 해녀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많은 젊은이들이 이쪽 분야로 진출하는 것으로 안다. 이들과 나이가 많으시지만 현장을 떠나지 못하는 해녀들의 안전을 위해 행정기관에서 특별히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나마 지난 9월 28일 경남도의회도 나잠어업 보존과 육성 필요성을 공감하고 전통 나잠어업 문화 계승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나잠어업 보존 및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현재 경남도는 조례 제정에 따른 세부 시책과 지원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경남도청 관계자는 "나잠 어업인과 각 시군의 의견을 청취하고, 제주도 등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서 시책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예산을 확보하고 최대한 빨리 절차를 진행해 2019년에는 나잠어입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그들의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