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은 이제는 지진 다발지역이 된 경주, 포항과 가깝고 도시 개발 때 매립을 한 곳이 많아서 더 정밀한 지진 대비책이 필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상태로 보면 경남은 지진 대비책이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너무 늦은 대비가 비난받을 일이긴 하지만 일을 당할 때까지 뒷짐만 지는 것보다는 낫다.

본보는 포항 지진 이후 경남의 지진대비 부족실태를 연속으로 보도해 왔다. 지금까지 실태를 보면 가까이서 지진이 나지 않은 것이 다행인 수준이다. 지진이 발생했다면 고스란히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피 등 행동요령이 전혀 도민들에게 전파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지만 실제로 경남 도내는 대피시설 또한 태부족인 상태임이 드러났다. 본보가 행정안전부에 확인한 결과 지진피해로 대피 기간이 길어질 때 임시 주거시설로 사용될 지진 실내구호소는 그 수가 너무 적다. 경남 전체로는 총 188곳이 지정되어 있는데 내진설계가 된 곳이라는 다행스러움은 있으나 경남의 인구를 고려할 때 태부족이다. 또한, 자치단체 간 편차가 심하고 인구밀집지역인 창원은 13곳에 불과하며 마산합포구의 경우는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뿐만이 아니다. 정작 대피해야 할 시민들은 이런 대피시설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재난 매뉴얼이 도와 지자체의 책상 서랍 속에만 존재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다.

경남지역은 이번 포항지진 피해를 가중시킨 액상화 위험이 큰 곳이라는 전문가의 진단도 있다. 매립지가 많고 해안지대여서 액상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여건을 갖추었다는 전문가 견해도 있다. 서울 등 경남과 먼 거리에서 지진이 발생해도 피해가 발생할 소지도 있다고 한다. 액상화 피해는 내진설계로도 잡을 수 없는 만큼 건축물 기초를 튼튼히 할 방안을 찾고 이를 법제화할 필요가 있는데, 그런 경각심이 있기나 한지 의문스럽다. 재난 대비는 철저할수록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언제까지 경남에 일어나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여기고 지나칠 수만은 없다. 재난 대비 대책을 서두르고 도민에게 적극적으로 계도하여 도민이 함께 재난 안전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