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황동 유적지 발굴 현장서…'상위 계층 사용' 추정

금관가야 추정 왕궁지로 알려진 김해 봉황동 유적지(김해시 봉황동 회현동주민센터 앞) 발굴현장에서 가야시대 대형 건물지군과 토기 등이 대거 발굴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김해군읍지에 기록된 수로왕궁터 기록을 근거로 금관가야 중심세력의 실체를 찾고자 김해 봉황동 유적과 주변 일대를 대상으로 지난 2015년부터 발굴조사를 벌여오고 있다. 현재까지 70여 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했고, 올해는 지난 3월부터 발굴을 재개했다. 연구소는 "발굴 재개 결과 그동안 파악하지 못했던 봉황동 유적(동쪽 지점)의 전체적인 층위 양상과 가야 시대 대형 건물지 10여 기, 토기 수백 점을 발굴했다"고 21일 밝혔다.

더불어 화로형 토기와 통형기대(긴 원통을 세워둔 모양의 그릇받침), 각배(뿔 모양 잔), 토우 등 의례용으로 추정되는 유물들도 다수 발견했다. 층위 조사에서는 현재 지표면으로부터 4.5m 아래에서 기반층을 확인했다. 원삼국시대 민무늬토기가 출토된 문화층과 가야시대 건물지와 소성유구(불을 사용한 흔적이 있는 시설물) 등도 발굴돼 통일신라 시기와 조선시대까지의 문화층이 확인됐다.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았던 기반층부터 현 지표면까지 전체 층위의 양상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앞으로 유적 형성과정을 규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야시대 문화층 조사에서는 다수 대형 건물지도 발견됐다. 바닥이 타원형인 건물지들은 대체로 지름 10m 이상으로 일정 구역 내에 밀집된 양상을 보였다. 이런 대형 건물지군은 그동안 봉황동 유적 일대에서 발견된 일반 생활 유적과는 차별화된 공간으로 활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이번 김해 봉황동 유적의 추정왕궁지 발굴조사에서는 당시 유력 계층의 흔적을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가야 왕궁은 찾지 못했으나 상위 계층의 존재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유구와 유물이 계속 발견되고 있다는 점에서 추후 조사 결과가 주목된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이 같은 올해 발굴 유물들을 22일 주민들에게 공개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