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경남지역 시민단체 등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요구

지난해 경주에서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지난 15일 포항에서도 5.4 지진이 일어나면서 탈핵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포항 지진에도 발전 정지나 출력 감소 없이 정상 운전 중”이라고 밝혔지만, 1년 2개월 사이에 잇따라 강진이 발생한 만큼 원전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에 대해 양산단층 가지단층인 장사단층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양산단층 일대에는 한울원전 6기, 월성·신월성원전 6기, 고리·신고리원전 6기 등 핵발전소 18기가 가동 중이다. 여기에 5기가 건설 중이다.

이 일대 원전 내진설비는 신고리 3호기를 제외하고 모두 지진 규모 6.5에 그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신고리 3호기와 건설 중인 원전은 내진 설비는 7.0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한반도 최대 지진규모를 7.5로 보고 있어 7.0 내진설비도 안심할 수도 없다.

이에 정당과 경제계, 시민단체들은 핵발전에 대한 위험을 알리고 에너지 전환을 앞당겨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20171116010073.jpeg
▲ 탈핵경남시민행동·밀양765kv송전탑반대대책위·탈핵을 희망하는 경남도민이 16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지진에 대책 없는 핵발전소 즉각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일호 기자

◇에너지 전환 앞당겨야 = 탈핵에너지전환국회의원모임은 성명을 통해 문재인 정부의 신규원전 건설 중단과 노후원전 수명 연장금지 공약이 확고히 지켜져야 한다며 “탈원전 정책은 더 빠르고 더 강력히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녹색당은 지진 발생 후 핵발전소 건설 중단과 함께 탈핵 시기를 앞당기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녹색당은 “지진이 발행한 양산단층 위에는 핵발전소가 있다. 강진이 포항에서 발생한 것은 단층대가 활성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한반도가 더는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밝혔다.

이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에서는 지진이 고려대상이 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노후 원전 전면 가동 중단과 폐로, 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중단, 신울진 1·2, 신고리 4호기 건설 중단을 촉구했다.

이번 지진으로 에너지 전환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연구원은 “이번 지진으로 한반도가 지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사실이 각인됐다”며 “산업 피해는 미미하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원전 밀도가 높은 고리·월성이 지진의 영향권에 있어 안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은 투자 소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낙후돼 발전단가가 높다”며 “공론화 과정에서 탈원전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높았지만 현 시점에서는 탈원전 기간을 더 축소해야 하는지 심각한 결정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전 안전성부터 확인해야 = 경남지역 시민단체도 한반도 동남부 일대 원전 안전성에 대해 우려했다. 탈핵경남시민행동은 16일 오전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진평가를 재진단하고 원전 안전성이 확인되기 전까지 가동 중인 원전을 멈추고 건설 중인 원전 역시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시민행동은 “이번 포항 지진으로 양산단층·일광단층·울산단층·동래단층 등 양산단층대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것이 확실해졌다”며 “한반도 동남부 일대는 활성단층이 많은 연악한 지반이라서 지진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결정을 존중하지만 이번 지진 발생으로 안전점검을 먼저 이행하고 다시 공사 재개와 중단을 재개해야한다”며 활성단층대 인근에 원전 건설 전면 재검토를 강조했다.

박종권 탈핵경남시민행동 공동대표는 “경주 지진 후 1년 2개월 만에 강진이 일어난 점에서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에너지 정책 전환에 대한 명분이 생겼다”고 전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