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마산합포구 창동·오동동 일대의 임대료 전수조사에 나서기로 한 것은 도시재생사업이 젠트리피케이션(도심 백화현상)으로 흔들리는 현상에서 창원도 예외가 아님을 보여준다. 최근엔 창동 일대의 일부 건물주들이 임대료 인상을 자제하는 기류도 있었고, 아직은 이 일대에서 임대료 상승이 걱정할 만한 현실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창원시가 대응에 나선 것은, 통합창원시 출범 이후 심혈을 기울여 진행한 창동·오동동 도시재생사업이 차질을 빚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그만큼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창원시는 전수조사를 계획한 것과 더불어 건물주와 세입자 간 상생협약 체결을 추진하였다. 지난 9월 국토교통부도 젠트리피케이션 전국 실태조사에 들어간 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자체나 주민들이 애써 성사시킨 도시재생사업이 원 거주 주민을 쫓아내고 건물주 배를 불리는 것으로 귀결하는 본말전도의 현상은 이미 전국 곳곳에 만연해 있다. 도시 전문가들은 애초 도시재생 추진 과정에서 지자체의 주도가 아니라 지역주민, 건물주, 상인, 시민단체와 지자체 간의 협력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도시재생 계획을 세울 단계부터 주민 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보자면 창원시의 대응이 시의적절하다고 칭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창원시는 창동과 오동동 일대를 정비할 당시부터 지역주민 등 이해 당사자들과 충분히 협의했는지, 각 주체 간 갈등의 소지를 미리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애썼는지 돌아보아야 한다. 

도시재생사업은 구도심상권을 원래대로 부활시키거나 후락한 도시 환경을 쾌적하게 바꾸는 등의 물리적 변화에 그쳐서는 안 된다. 궁극적으로 지역의 커뮤니티와 공동체를 회복하고 사라져가는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데 의의가 있다. 서울 일부 지역 등 젠트리피케이션을 막은 성공 사례는 이미 나와 있다. 창원시는 이들 선례를 학습하여 창동·오동동 일대의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 입점 제한, 임차인과 상생하는 건물주 홍보, 임대료가 급격히 상승한 건물에 대한 지원 배제 등 당근과 채찍을 병합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주민의 의사를 반영하고 그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