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보의 수문을 완전개방하지 않는 이유가 농민들을 위한 농업용수 확보 때문으로 인식돼왔으나 막상 농민들은 그렇게 여기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 문제다. 전국농민회경남연맹은 그런 해석은 사실과는 다르다고 잘라 말한다. 농업용수는 그 나름대로 별도 대책을 세워 해결하면 되지만 겨울철 시설재배 작물은 보의 완전개방만이 농사를 짓는 데 유익한 유일한 길임을 강조한다. 보에 갇힌 물이 지하수위를 높여 수박이나 고추 오이 등 고등 채소의 생육이 지장을 받는다는 것. 창녕함안보 상류에 있는 함안군 대산 칠서면, 창녕군 남지읍 일원이 가장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으로 보가 설치되기 전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경남연맹은 성명에서 보의 부분개방이나 찔끔 개방을 농민을 위한 농심용으로 포장하는 것을 더는 하지 말라고 충고하고 있다. 수위가 내려가지 않아 낭패일 뿐만 아니라 해마다 창궐하는 녹조 탓에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그것 자체가 반농업적임을 알린다. 입동을 지났는데도 녹조가 기승을 부리는 낙동강 하류 현실이 공감을 하게 하고도 남는다. 농작물도 사람이 마시는 물과 마찬가지로 깨끗한 물로 키워내야만 건강한 먹거리가 될 수 있고 그런 친환경 먹거리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상생의 자연순환을 이뤄낼 수 있다는 시각은 보편적인 상식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보 수위를 낮춰 물의 흐름을 빠르게 함으로써 녹조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로 해서 만들어진 청정수로 농사를 지어야 진정한 의미에서의 낙동강의 원상회복을 꾀할 수 있다는 주장은 언제 들어도 신선하다.

보의 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부분개방은 녹조 억제에 별로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농사에는 오히려 악재가 된다는 하소연이 설득력을 얻는 배경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현단계에서 완전개방만을 고집하는 것도 무리다. 그래서 제기되는 선행 방법론이 모니터링론이다. 선별적으로 보를 선정해서 일정기간 물을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한 후 실험결과를 보고 행동방침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고려해볼 만한 대안이다. 정부는 귀를 열어야 한다. 사업 전과 후의 낙동강 생태변화상을 제대로 알아야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