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저 파우츠·스티븐 투겔 밀스 지음
'소통하는' 침팬지 워쇼의 성장
인간의 욕심·어리석음 꼬집어
저자, 동물권익운동 30년 담아

영화 <혹성탈출:종의 전쟁>에서 침팬지 시저는 말한다. "유인원은 뭉치면 강하다." 허구를 바탕으로 한 SF영화는 침팬지를 내세워 인간의 오만함을 꼬집는다.

로저 파우츠가 쓴 <침팬지와의 대화>도 그렇다.

책은 심리학자를 꿈꾼 저자가 '말하는' 침팬지 '워쇼'를 만나 과학자를 넘어 동물 권익 운동가로 산 30년을 담았다. 워쇼와의 우정을 그린 저자의 성장기로 읽을 수 있지만, 이면에는 인간의 욕심과 어리석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1960~70년대 미국에서는 유인원에게 다양한 실험을 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동물에게 마음이 없고 동물의 틀에 박힌 행동은 본능에 따른 결과라고 했다. '객관적 과학'이라는 이름이었고 이는 미국 우주 프로그램으로 구체화했다. 항공우주국의 생물학자와 기술자들이 침팬지를 외부 은하로 보내서 신체적 반응을 분석했다. 침팬지는 고통스럽게 운명을 맞았다.

심리학계에서는 언어의 기원을 알아보고자 침팬지에게 수화를 가르쳤다. 심리학자 앨런과 비어트릭스 가드너 부부는 워쇼에게 언어를 가르치는 일을 했다. 당시 가난했던 대학생 로저는 학비를 벌려고 가드너 부부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다. 그렇게 1967년 9월 로저는 워쇼를 만난다.

워쇼는 주먹을 쥐고 엄지를 펴서 입에 댐으로써 '마신다', 양쪽 검지를 마주 가리키면서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상처를 건드려 '아프다' 등을 말했다.

로저는 워쇼의 기저귀를 갈고 배변 훈련을 시키며 침팬지의 행동은 자신의 아이와 같다고 생각했다.

1970년 다섯 살이 된 워쇼는 132개의 수화를 정확하게 사용했고 그 밖에 수백 가지 수화를 이해할 수 있었다. 서로 대화하며 너와 내가 다르지 않음을 느꼈다.

로저는 워쇼에게 안전하고 행복한 공간을 주고 싶었다. 영장류 연구소, 센트럴 워싱턴 대학교(CWU)로 자리를 옮겼지만 산책 한번 하지 못하는 곳이었다.

그는 과학자가 된다는 것이 워쇼를 감금해야 한다는 의미라면 과학자가 되고 싶지 않았다.

저자는 고백한다. "워쇼프로젝트는 교차 양육 실험이었기 때문에 침팬지가 인간 가족에게 사회적, 감정적 애착을 갖게 되었다. 나 또한 피실험체를 사랑해서는 안 된다는 행동 과학의 제1계명을 어겨야 했다."

책에 실린 사진. 제인은 여러 해에 걸쳐서 워쇼의 가족을 여러 번 방문했고, 엘런스버그에 침팬지 인간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지을 때 주 기금을 따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진은 1983년에 타투와 나(저자 로저 파우츠)를 방문한 제인 구달.

로저는 <인간의 그늘에서>를 펴내며 동물 권익에 앞장선 제인 구달과 여러 활동을 펴나간다. 에이즈 바이러스를 주입 당한 다음 철제 상자에 들어가 있는 침팬지들, 자해를 하는 원숭이를 모른 체 할 수 없었다. 과학계에서 영구제명을 당해도 멈출 수 없었다.

로저는 마침내 1993년 5월 침팬지 인간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연다. 기금 모금 10년, 설계 8년, 건축 2년이 걸렸다. 쉰 살을 맞은 로저는 워쇼와 함께 문밖에 펼쳐진 햇살 내리쬐는 들판을 바라본다.

그는 청각장애인이 워쇼와 수화로 말하며 느끼는 동질성을 보며 인간과 멍청한 동물이라는 오랜 구분에 헛웃음 친다.

서문을 쓴 제인 구달도 말한다.

"인간은 동물계에서 좁힐 수 없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나머지 동물들과 단절되어 영광스러운 정상에 홀로 서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이 간극을 극복함으로써 침팬지뿐만 아니라 지구를 함께 쓰고 있는 모든 놀라운 동물들을 새삼 존중하게 된다."

<침팬지와의 대화>는 1997년 미국에서 출판됐다. 국내 독자와는 20년 늦게 만난 셈이다. 과학의 어두운 면을 가차없이 드러내고 촛불을 밝히려 했던 로저는 은퇴 후에도 침팬지 권익보호 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 사이 2007년 워쇼는 세상을 떠났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혈족, 워쇼를 애도한다.

505쪽, 열린책들, 2만 5000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