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신공항 건설을 둘러싸고 지역 정가에서는 서로 다른 목소리들이 엇갈리고 있다. 김해 지역 시민사회와 정치권 일각에서 김해신공항 건설 반대 여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김해시는 소음 대책이 없는 김해신공항을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23일 허성곤 김해시장은 소음 대책을 내놓지 않은 채 신공항 건설을 강행하려는 정부를 비판하면서도, 소음 대책만 마련되면 김해신공항을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허 시장의 입장은 김해신공항 백지화를 반대한 서병수 부산시장을 반박하기 위해 나온 것이지만, 김해신공항 백지화에 기울어진 지역구 국회의원들과도 선을 그은 것이다. 김해신공항 건설을 둘러싸고 지역 정치권, 특히 민주당 내에서 의견이 엇갈리는 양상은 신공항 문제를 푸는 데 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김해신공항의 소음 대책은 이미 전문가에게서 나오고 있다. 박재현 인제대 교수는 활주로 방향이 서쪽의 원도심을 향하는 V자 형 정부 설계안을 남쪽 11자 형으로 확장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더해 허 시장은 낙동강으로 항로를 변경하자고 제안했다. 활주로나 항로가 김해 도심을 관통하지 않게 하는 이런 방안들이 소음 피해를 최소화하는지는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김해신공항을 반대하는 이들도 소음 피해가 큰 이유인 만큼 소음을 해결하는 방안이 제시된다면 갈등이 풀리거나 타협점을 찾을 수 있다. 물론 김해신공항 건설을 꼬이게 한 원죄는 이전 정부에 있다. 동남권신공항이 김해로 최종 결정된 과정은 철저하게 정치적 계산이 작동했다. 일찍이 국토연구원이 동남권신공항으로 김해공항 확장을 제안하긴 했지만, 소음 피해 대책이 없는 한 대안이 되기는 부족하다. 정부는 그러지 않아도 김해공항의 소음에 시달리고 있던 김해 시민들의 의사를 수렴하는 절차도 생략했다. 김해 시민들로서는 부산과 경남이 빚은 극한 갈등의 뒤처리를 떠안은 꼴이다.

김해신공항은 정권이 악용한 국책사업이 얼마나 큰 폐해를 낳는지 보여주고 있다. 지금 와서 되돌릴 수 없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대안을 찾아야 한다. 학계와 정치권에서 김해신공항 설계 변경을 제안한 만큼 정부가 이들의 목소리에 적극적으로 귀를 기울이는 것이 신공항을 둘러싼 여러 갈등을 푸는 첫 해법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