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정연구원·학계 공동 세미나서 "역할 공조" 지적
원주민 참여 방식, 일자리·복지 등 장기적 모색 제안도

주민, 지자체,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삼각 협업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한다면 창동·오동동 재생 사업을 진행한 바 있는 창원시가 도시재생 뉴딜 사업의 선도 지역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창원시정연구원이 LH 토지주택연구원, 창신대학교 부동산대학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도시재생 뉴딜 정책과 주민·공공부문의 역할 세미나'에서 이상현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지속돼 온 창원시 도시재생 사업의 장점 극대화를 통해 창원시만의 독창적인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도시재생 뉴딜 사업 참여주체인 △주민 △창원시 △도시재생지원센터가 공조적 역할을 분담하면서 '삼각 협업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와 관련, 성주한 창신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성공적인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원주민 참여형 방식의 사업추진이 필요하다"며 "임차인 참여 비율에 따라 당해 토지 건폐율이나 용적률 등을 높여주는 보조장치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특히 성 교수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추진한 기존 도시재생 사업에서 방향전환이 필요하다"며 "사업 대상지 주민과 대화를 통해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과 주민복지까지 연결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 추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조 발제를 한 여홍구 한양대 명예교수는 "창원시는 바다와 산, 그리고 과학기술과 산업이 공존하는 도시로 역사, 문화, 예술의 도시로 재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 교수는 이를 위해 △마산·창원·진해 통합시로서의 연결 및 조화 △노후화된 단독주택 개선 △기존 산업 구조의 변화 △항구적으로 창원을 대표할 수 있는 건축·문화·예술 공간 창출 등을 제안했다.

전 국가기획자문위 전문위원이기도 한 아주대 공공정책대학원 이재준 교수는 "기존 행정체감형 사업, 중앙정부 정책 공모방식, 물리적인 하드웨어 개발에서 벗어나 국민체감형 사업, 지자체 제안방식, 창조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안상수 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도시를 활성화해 도시공간을 혁신함과 동시에 일자리 창출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오늘 세미나가 창원시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상권 활성화와 연관되어 순조롭게 진행돼 창원시가 새로운 도약을 하는 데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경남도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사업에서 성과를 내고자 이날 오후 한경호 권한대행 주재로 민관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외부전문가와 LH 본사 관계자도 참석해 공모 신청사업에 대한 마무리 점검을 했다.

도는 정부 공모계획이 확정된 9월부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도시재생지원단을 확대·개편해 차별화된 경남형 도시재생 뉴딜 공모사업 계획 수립에 주력해 왔다.

도는 올해 중앙 공모에 5개 시(창원·진주·사천·통영·김해)로부터 대상지 5곳을 접수해 25일 국토부에 신청하며, 최종 선정 시까지 지속적인 컨설팅 등 전담 관리할 방침이다.

한경호 권한대행은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공모사업에 경남도가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공모사업 계획부터 선정 때까지 내실 있게 추진해 쇠퇴한 구도심 재생을 통한 도시 간 양극화 해소로 도민 삶의 질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쇠퇴한 구도심 재생을 위해 5년간 전국 500여 개소에 50조 원을 투입한다. 올해는 12월 말까지 전국에 70곳을 선정할 예정으로 이 중 25곳은 중앙에서, 나머지 45곳은 광역시·도에서 선정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