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5일부터 사흘간에 걸쳐 창원에서 '세계한상대회'가 열린다. 한상대회란 이미 잘 알려진 대로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우리 민족 출신 상인들이 갖는 정기 모임이다. 이 행사는 해외동포와 국내 경제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안면을 넓히고 친목을 도모하는 자리이다. 하지만, 전국 기초지자체 중에서 처음으로 대회를 주최하는 창원시의 입장은 이런 의미와는 약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먼저 세계한상대회가 스스로 건 대회 목적은 한상네트워크의 활성화이다. 해마다 정기적인 만남과 모임을 통해 새로운 시장 개척과 상호 정보교류와 사업기획도 물론 중요하다. 이런 기본적인 활동이 전제되어야 인적·물적인 네트워크 구축이나 확장도 가능하다. 하지만, 한상대회가 올해로 16회째를 맞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대회의 내용을 두고 이제는 제대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대회 자체를 일회적인 행사로 치부하지 않고 새로운 내용을 만들면서 대회에서 오간 논의를 빈말로 남기지 않고 정책과 제도로 만드는 데 이제는 주력해야 한다. 즉, 단순한 정보교환이나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수준이 아니라 행정부와 협조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구축하고 어떤 방향으로 설정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자리여야 한다. 하지만, 중앙정부는 제도적 방향설정을 빨리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중앙정부의 이런 한계를 인정한다면 중앙정부는 오히려 한상네트워크를 어떤 방향으로 활성화할지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는 역할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즉, 한상네트워크의 활성화에 정말로 필요한 건 기업과 기업 혹은 상인과 상인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현장조직이 있어야 한다. 바로 조직이나 개인을 발 빠르게 연결하면서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돕는 기관의 역할을 기초지자체가 자임할 수도 있다.

창원시는 현재 무역시장 다변화와 청년일자리 창출이라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 일자리를 만드는 게 어려운 현실에서 이젠 국외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즉, 청년들을 단순노무직이나 농업 노동자로 내모는 워킹 홀리데이와 같은 사업보다 이제는 제대로 된 국외사업을 마련하는 데 지자체가 나서는 건 지나친 의욕이 결코 아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