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대변화에 대응하고자 분주하다. 특히 지난 11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출범한 만큼 각 자치단체는 이슈를 선점하고자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모두가 엇비슷한 출발선에 섰다.

판교테크노밸리 등 기술연구 센터가 집중적으로 포진해 있는 경기도에는 4차 산업혁명 전담 부서조차 없다. 4차 산업혁명 담당자는 기자와 통화에서 "우리(경기도)는 기존 과학기술과에 4차 산업혁명 업무를 추가해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경남도가 더 잘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와 비교하면 경남도는 지난 7월 조직개편 때 미래융복합산업과를 신설해 4차 산업혁명 대응체계를 전담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기업체, 연구기관,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4차 산업혁명 대응 경상남도 전략산업육성위원회'를 구성, 지난 13일 4차 산업혁명 대응 밑그림 격인 '경상남도 전략산업육성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하기도 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비어 있는 도지사 자리다.

문재인 대통령은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에서 '혁신 성장'을 강조하며 혁신의 속도가 빨라질 것임을 예고했다여 정부 방향에 발맞춰 4차 산업혁명 주도권을 잡으려면 자치단체의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김해수.jpg

대전시는 일찌감치 '4차 산업혁명 특별시'를 선언했고, 경북도는 지난 6월 스마트팩토리 사업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겠다며 비전 선포식을 열기도 했다.

경남도 역시 'G-SMART 생태계 조성'이라는 비전을 제시했으나 수장인 도지사가 없는 체제에서 얼마나 힘을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기대만큼 우려가 큰 이유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