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장 겸하는 등 지역 내 영향력 커
정부엔 현안 직접 건의…자기 사업 못 챙길 정도 '분주'

최충경 회장 임기가 오는 12월 19일로 끝나면서 누가 창원상공회의소(이하 창원상의) 차기 회장이 될지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역에서 이름만 대면 알만한 경제계 인사 7∼8명이 후보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다. 이들 중 과연 누가 회장 자리를 차지할지 경제계는 물론 정·관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창원상의 회장 자리가 왜 이처럼 주목을 받을까?

상공회의소는 민간 경제인단체이면서도 '상공회의소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 기업체는 회원사로 의무 가입하고, 회비를 내야 하는 국내 유일 법정 경제인단체다. 물론 대한상의와 지역별 상의에는 '상공회의소법률과 시행령'을 준수해야 하는 의무를 지운다.

창원상의는 2300여 개사를 회원사로 두고 있다. 상근 직원은 36명이며, 지역 상공회의소 중 전국 3∼6위권의 연간 예산(일반회계 기준) 규모를 자랑한다. 창원상의 회장은 이렇게 큰 경제인단체를 이끄는 수장이다.

창원상의는 창원시라는 기초자치단체를 관할구역으로 하지만 광역시에 속한 광주·대전상의보다 규모가 더 크다. 당연히 대한상의 내부에서 존재감도 크다. 회장 위상도 다른 기초자치단체 상공회의소와는 급이 다르다.

창원상의 회장을 맡으면 도내 9개 상공회의소를 아우르는 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 회장도 함께 맡는다. 경남상의협의회는 2012년 7월부터 운영 규정에 '협의회 회장은 도청 소재지 상의 회장이 당연직으로 한다'는 부칙을 삽입해 '창원상의 회장 = 경남상의협의회 회장' 등식을 만들었다. 창원상의 회장이 경남경제계의 수장 역할을 하도록 제도화한 셈이다.

또 경남상의협의회 회장으로서 당연직으로 대한상의 부회장을 맡는다. 대한상의 부회장인 만큼 지역 현안을 건의하고자 각 부처 장·차관을 만나기 쉽고,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장과 면담도 상대적으로 쉽게 할 수 있다. 최 회장은 임기 내 창원해양경찰서 신설, 창원국가산단 산업구조 고도화와 확장, 창원과학기술원 설립, 경남도 연구개발특구 지정, 재료연구소의 원 승격, 남부내륙철도 조기 건설, 조선산업 고용위기 지역과 특별고용업종 지정 등 다양한 건의 활동을 했고, 해당 부처에서 이 건의가 받아들여진 사례도 여러 건 있다.

다양한 지역경제 현안으로 지역구 국회의원과 만남도 잦은 편이다.

이에 그치지 않는다. 자치단체장 성향에 따라 차이는 다소 있지만 창원상의가 속한 기초자치단체의 장인 창원시장과의 만남, 경남상의협의회 회장으로서 도지사와의 만남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최 회장은 진해글로벌테마파크 시민추진위 활동, 경남은행 인수추진위 활동,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의 독자 원 승격 추진위 활동 등 다양한 지역경제계 이슈 중심에 있었다. 추진위를 꾸리는 활동만이 아니라 다양한 지역경제 현안 세미나 자리를 만들어 그 중심에 창원상의 회장이 있다.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잦은 일정으로 자기 사업을 돌볼 겨를이 거의 없다. 임기 동안 전문경영인이나 2세 경영인에게 사업 상당 부분을 맡겨야 온전히 유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자기 사업이 그만큼 안정적이어야 회장직을 제대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자치단체장, 국회의원 등을 자주 만날 수 있기에 활동 중 중심을 잘 잡지 않으면 정치권 등의 외풍에 시달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단점에도 현 문재인 정부는 경제계 제1 대화 파트너로 전경련과 경총보다는 대한상의로 눈에 띄게 무게 중심을 옮겼기 때문에 창원상의 회장 위상은 한층 더 커질 전망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