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문자 전송' 불만에 "시스템 문제"…부실한 대응·시공법 논란도

1년 사이 두 번의 송수관로 파손으로 단수 피해가 속출했으나 창원시의 늑장 대응으로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지난해 12월 3일 경남도청 앞 경찰청사거리 창원중앙역세권개발사업 공사 과정에서 송수관로가 깨져 창원시 성산구 성주·가음정·사파동 지역에 수돗물이 공급되지 않았다. 지난 20일 오후 3시 30분께 의창구 팔룡동 홈플러스 앞 사거리에서 제수밸브 설치 작업 중 송수관로가 파손돼 의창구와 성산구 9개 동이 단수 피해를 봤다. 1년 사이 단수 사고가 두 번이나 났지만 창원시 수돗물 안정공급 대책은 여전히 미흡하다.

◇'우왕좌왕'하는 행정력, 피해 잇달아 = 20일 사고로 성산구 단독주택 거주 주민들은 대형마트에서 세수를 하기도 했다. 일부 시민들은 생수를 사들고 가 씻기도 했다.

중앙동에 사는 박모(57) 씨는 "물이 안 나와서 딸이랑 같이 마트에서 씻는 불편함을 감수했다"고 토로했다. 상남동에서 자영업을 하는 정대준(32) 씨는 "자체 물탱크가 있어 물이 나오긴 하는데 설거지를 하기 어려울 정도 수압과 양이라 하루 영업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창원시 홈페이지 시민의소리에도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한 창원시를 꼬집거나 문자메시지 공지 시간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창원시 시민안전과 관계자는 "창원시에서 재난문자를 바로 보낼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니고 경남도, 행정안전부 승인 절차를 밟게 된다"라며 "행정안전부에서도 메시지가 일부 수신이 안 된 건 시스템 문제라는 답변을 했다"고 밝혔다.

548351_418226_5451.jpg
▲ 지난 20일 창원 의창구 팔룡동 홈플러스 앞 송수관로 파손 현장 모습. /김구연 기자

◇창원시, 수돗물 안정공급 대책 부실 = 이날 주변 정리는 주로 경찰이 도맡았다. 창원서부경찰서는 오후 3시 55분께 신고를 받고 출동해 경남경찰청·창원중부경찰서·마산동부경찰서와 협조해 교통통제에 나서 차례로 차로를 막으며 침수피해를 예방했다.

반면, 창원시나 의창구청, 상수도사업소는 별다른 대응이나 대책 없이 현장에 나와 상황을 주시하는 데 그쳤다. 상수도사업소는 시공 업체에 연락해 양수기 3대를 가져와 물을 뺐고, 창원소방서는 홈플러스 앞 사거리에 물이 넘친다는 119 신고 전화(오후 5시 27분) 후 2분 뒤 출동해 물을 빼는 데 주력했다.

창원시는 사고 발생 후 SNS 홍보와 전광판, 문자서비스 등을 통해 단수를 알리는 데 그쳤다. 시는 지난해 창원중앙역세권개발사업 공사 과정에서 송수관로 파손으로 한 차례 단수 피해를 겪었음에도 부실한 대응을 보여줬다. 당시 창원시는 "긴급 복구용 특수자재를 사전확보 비축해 관로가 파손하면 긴급 투입해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해 나가겠다"고 밝혔지만 이번에도 대응 능력은 부족했다.

또 매설된 상수도가 몇 개나 노후화됐는지 알 수 없다는 점에서 부단수 공법이 사고를 다시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더불어민주당 주철우(명곡·팔룡) 시의원은 "단수하지 않고 공사를 하는 시공방법으로 사고가 났는데 과연 이 방법이 적절했는지 의문"이라며 "차라리 단시간 단수를 통해 시민 피해를 막아내는 것이 더 올바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상수도사업소 관계자는 "단수를 하게 되면 인근 많은 가구가 단수 피해를 입게 된다. 부단수공법이 위험성이 큰 공법은 아니다. 창원에서도 처음 있었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21일 자정에도 전남 여수시 율촌면 취적리 지하에 매설된 복선 도수관로 공사 중 지름 1650㎜의 관로가 파손됐는데 이 역시 부단수공법이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