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먹거리와 관련한 사건·사고가 빈번하다. 가짜 백수오, 조류인플루엔자, 햄버거 병, 살충제 계란, E형 간염 소시지까지 잊을 만하면 터지는 먹거리 사고가 최근 몇 년간 연이어 보도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급변하는 현대사회, 식량생산의 한계, 다양한 식품에 대한 요구 등으로 예전에 볼 수 없었던 먹거리가 계속 등장하고 이에 식품의 오염물질이나 위해물질의 범위도 더 넓어지고 있다.

우리 식탁에 올라오고 있는 대부분 식품들은 원료나 가공단계에서 각종 기준 및 규격 규제에 검증되어 나온 것이다. 예를 들어 농산물이나 축산물은 잔류농약, 동물용 의약품, 항생제 등 기준규격에 의해, 수산물은 방사선조사, 중금속, 미생물 등 기준규격에 의해, 보존료 및 착색제 등 용도에 따른 첨가물은 식품첨가물 기준규격에 의해, 식품관련 기구 및 용기는 식품에 이행될 수 있는 유해물질에 대한 기준규격 등에 의해 검증되어 시중에 나온다. 식품원료 유형별로 상호 교차 적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가공식품은 식품유형마다 개별 기준에 적합한 것만 유통된다.

이처럼 우리 식탁에 올라오고 있는 식품들은 정부의 각종 까다로운 규제 장치로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가공 중에 발생되는 여러 반응들에 의해 새롭게 생성되는 유해물질이나, 기준 규격을 무시한 허가되지 않은 물질의 사용 또는 기타 불량환경으로 인한 비의도적 물질의 생성 등에 대한 사각지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유전자변형식품과 같은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제품의 경우는 사전예방원칙에 의해 철저한 위해평가가 수행되고 안전성 심사과정을 거쳐 승인된 것만 유통되기 때문에 일반식품과 동일한 수준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오선우.jpg

이렇게 농축산물과 식품의 위해를 예방하고 안전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정부는 '식품인증제도'와 '심사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소비자 중심의 식품안전에 대한 미래 요구사항에 귀 기울여야 하는 시점이 왔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 식탁의 정보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할 것이고, 바른 먹거리를 위해서 올바른 정보를 취사선택하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어야 내 식탁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소비자는 정부를 신뢰하고 정부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정책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식탁의 안전이 자연스럽게 지켜질 수 있도록 상호 소통과 협력이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