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마산합포구 오동동 문화의광장에 서 있는 평화의 소녀상 '인권 자주 평화 다짐비'는 건립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수난이 잦다. 누군가가 붙잡고 흔들어댄 탓인지 지면에 닿는 나사 부분이 헐거워져 안정성이 약화했는가 하면 얼마 전 한 시민이 체인으로 자전거를 매단 일이 드러나 큰 충격을 던진 바 있다. 그뿐 아니라 꽃을 꽂도록 설계된 발밑 항아리가 별안간 없어져 시민 모두의 정신적 기념물이 일부 지각없는 이들에 의해 희화화되는 고초를 겪었다.

도내에는 거제 통영 남해 하동 등 여러 곳에 소녀상이 설치돼 시민들의 보호를 받고 있지만 유독 오동동의 것이 심하게 상처받는 이유에 대해 이렇다 할만한 답을 찾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아마도 상가가 밀집한 번화가 중심지라는 주변환경으로 인해 주민 인식도가 해이해지기 쉽다는 난점이 있다.

이 기념물을 모금방식을 통해 주민성금으로 건립했고 사후관리까지 도맡은 시민모임이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보호관리할 수 있을 것인지를 놓고 골머리를 싸매는 지경에 이른 사정이 그와 같다고 할 것이다.

이대로 두고 훼손 사례가 발생할 때마다 개별대응으로 일관하다가는 조형물이 원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을지 자신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녀상에 깃든 국민적 자존감이 흠집날 우려가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시에 기부하는 것이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는 모양이지만 단체장의 성향이나 역사관에 따라 불확실하다는 불안감이 상존함으로써 선뜻 방향전환이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가 없을 줄 안다. 거론되고 있는 조례안에 전담부서를 명시하고 인력을 배치한다면 단체장이 바뀌더라도 뒤탈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 오동동 소녀상의 수난은 이처럼 눈살 찌푸리게 하는 불협화음을 던져주기는 했으나 그동안 방치되다시피한 보호관리체계를 한 차원 더 높게 끌어올리게 하는 반사이익을 가져다준 측면이 있다. 조례를 보완해서 관리주체를 공적 시스템화한다면 민간단체가 겪는 한계에서 벗어나 24시간 감시의 눈길을 보낼 수 있는 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