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교방2주택개발사업구역이 사업을 시작한 지 11년 만에 정비구역에서 해제되는 절차를 밟음에 따라, 그동안 27곳이 진행 중이었던 창원지역 주택재개발사업에서 해제된 곳은 6곳이 되었다. 지난 5월에는 창원에서 회원4구역과 구암2구역이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바 있다. 한때 투기와 일확천금의 상징이었던 도시재개발 사업이 속속 저지되는 흐름은 주거 정책의 틀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짜야 할 필요성을 던져 주고 있다.

교방2구역이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것은 정비구역 지정 이후 주민들의 금전적 부담이 되레 커진 점이 가장 큰 이유였다. 주민들은 조합원 분양가가 보상감정가보다 갑절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집값이 떨어지고 매매도 어려워졌다고 한다. 정비구역 지정 기간이 길어지면서 도심 정비도 할 수 없는 등의 불편도 가중되었다. 이런 현상은 집을 새로 지어놓기만 하면 천정부지로 집값이 오르고 투기가 몰리던 때만 해도 생각하기 어려운 것이다. 교방2구역 주민들이 재개발의 꿈을 단념한 것은 현실적인 이유가 컸지만, 정비구역 해제를 관철하는 과정에서 주민 간의 협력과 소통이 작용한 점은 눈여겨볼 만하다. 주택재개발을 반대한 주민들은 이웃을 설득하여 55.5%라는 토지 소유자의 과반수 찬성을 가까스로 얻어내어 정비구역 해제신청에 필요한 요건을 충족했다. 주민들은 공동의 문제는 공동으로 풀어야 한다는 정신으로 조합의 압박이나 일부 주민들의 비협조를 넘어설 수 있었다. 여전히 시공사나 조합의 반발이 적지 않겠지만 주민 간의 연대로 헤쳐나가기 바란다.

교방2구역이 재개발이 추진되었다 해제되는 과정은 주택재개발이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재개발 사업은 기존의 주택을 모두 허물고 새로 짓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주거환경을 개선해 실질적인 주민 복리를 추구해야 한다. 창원시는 통합 이후 새로 짠 도시 주거 정비 기본계획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 2012년 창원시는 정비예정구역 71곳을 새로 선정하면서 사업 진척이 더디거나 법적 요건을 갖추진 못한 26곳을 해제했지만, 교방2구역은 그때도 살아남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