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댐(일명 문정댐)은 그동안 설만 무성했지 정확하게 알려진 내용이나 추진일정이 잡힌 것은 하나도 없다. 그러다보니 그 용도를 두고도 다목적용이라느니 홍수조절용이라느니 양론이 비등했고 홍준표 전 경남지사가 부산지역에 깨끗한 지리산 물을 식수로 공급하겠다는 복심을 드러낸 후 이번에는 식수전용댐이 될 것이라는 의구심을 불러일으킨 바있다. 탈도 많고 말도 많은 애물단지가 된 것이다.

최근 국토부 장관이 국회 상임위에 출석, 말썽에 불을 지피는 발언을 함으로써 다시 한 번 진위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장관은 지난 22일 국회에서 상류지역(주민) 반대가 있어서 (다목적용이 아닌)홍수조절댐으로 변경해서 진행할 것이라는 의미의 견해를 밝혔다.

상류지역이라면 전북 남원시가 해당된다. 남원시는 작년에 여러가지 문제점을 들어 댐 건설을 재고해줄 것을 건의했다. 그런데 김현미 장관은 다목적용에서 홍수조절용으로 댐 성격을 바꾸는 것으로 그 건의에 답했다고 여기는지 모르겠다. 그 댐이나 이 댐이나 지리산 자연환경에 미칠 재앙적 소인은 똑같은데 댐건설을 기정사실화해버리는 성급함을 보인 것이다. 부적절한 태도가 아닐 수 없다.

지역민들이 알기로는 지리산에 댐을 건설하는 계획은 현재로는 도면상 그림일 뿐이다. 생태계의 마지막 청정지대라고 할 수 있는 지리산만큼은 길이 지켜져 후세에 그대로 전승하는 편이 옳다는 주장에 동의하고있다. 주무장관이 그같은 바람에 물을 끼얹은 것과 다르지않다. 임명 초기여서 아직 업무 숙지가 안된 탓이 크겠지만 지리산댐이라면 너무 잘 알려져 이제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

개발보다 보전이 더 큰 미래자산이 되리라는 희망은 대중적 상식에 속하는 환경이론이다. 특히 지리산댐은 천하절경인 용유담의 수몰을 전제로 하고있어 당위성의 문제가 논란거리다. 문화재청이 그곳을 명승지로 지정하는 작업을 벌이다가 더 큰 권력의 힘에 눌려 중단상태에 있는바 만일 장관이 그런 실정을 제대로 알지못해 내린 자의적 해석이라면 모르겠거니와 알고도 했다면 전 정부의 개발만능주의와 다를 것이 없다고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