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상의 경제연구포럼서 "원전해체산업 육성하려면 정부 지원방안 마련 필요"

경남에서는 사실상 처음으로 도내 원자력업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근 관련 이슈를 허심탄회하게 얘기했다.

이 자리에서는 정부가 탈원전 기조를 유지하더라도 한국형 원전 수출과 원전해체산업을 육성하려면 국내 원전산업생태계(Supply chain) 유지가 필요하며 정부 지원 정책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창원상공회의소 경제연구센터 주최로 지난 22일 오후 5시 창원상의 3층 회의실에서 열린 올해 두 번째 창원경제연구포럼 주제는 '원전 이슈에 대한 이해와 원전 히든 챔피언 육성방안'이었다. 2시간 20분가량 이어진 포럼에서 국내 대표적인 원자력 공인검사기관인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원자력공인검사단 이상훈 단장이 주제 발표를 했다.

이 단장은 최근 건설되는 한국형 3세대 원전(1기당 1400㎿, APR1400, 경수로)과 신재생에너지 실제 효율을 비교했다.

지난 22일 창원상공회의소 경제연구센터 주최 창원경제연구포럼에서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원자력공인검사단 이상훈 단장이 '원전 이슈에 대한 이해와 원전 히든 챔피언 육성 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이시우 기자

이 단장은 "원전은 기술집약적 발전이고 태양광·풍력은 토지집약적 발전"이라고 했다. 원전 1기 발전량을 감당하려면 풍력은 발전용량 3㎿ 기준으로 467기를 설치해야 한다. 태양광 발전도 현재 기술로는 마찬가지다. 상업적인 수준의 풍력 설치가 가능한 곳도 서·남·동해안 일부와 제주도 등으로 한정돼, 소음 등 지역민 갈등도 상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소 낯선 경남지역 원전산업 규모도 일부 드러났다. 원전산업에서 반드시 필요한 국내 인증은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 원자력 인증'이다. KEPIC 원자력 자격 취득 업체는 국내 239개 업체가 있고, 이 중 184개사(77%)가 중소·중견기업이다. 또 이보다 한 단계 더 까다로운 KEPIC 원자력품질 인증을 획득한 국내 116개사(재료업체 포함) 중 36개사가 경남에 있다. 전체 업체의 31%(전국 1위)가 경남에 있어 산업붕괴 시 지역경제에도 적잖은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원전해체산업을 두고는 "군사·실험용을 제외한 상업용 원전은 세계 시장 규모가 연간 6조∼8조 원으로 이는 국내 전자업체의 노트북 수출액 정도다"며 "해체 비용 중 인건비가 60∼80%를 차지하는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수익성이 얼마나 될지 알 수 없다"며 기대치를 낮춰 봤다.

이 단장은 끝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4중 안전장치 등 프랑스·미국과 비교해도 상업용 원전으로는 저비용 고효율을 지닌 한국형 3세대 원전을 이대로 사장시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며 "탈원전 기조로 가더라도 국내와 동남권 원전산업생태계가 붕괴하지 않을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종합토론에서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원전 해체산업은 까다로운 점이 많아 시장 특성 등 면밀한 검토없이 기대감으로만 덤비면 위험하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