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는 2031년 정점을 찍지만, 가구는 1인 가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43년까지 늘어난 뒤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은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를 기초로 최근의 가구 변화 추세를 반영해 이 같은 내용의 2015∼2045년 시·도별 장래가구 추계를 발표했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총 가구는 1901만 3000가구로 2020년(2017만 4000가구) 2000만 가구를 돌파하고서 2025년 2101만 4000가구, 2035년 2206만 7000가구에 이어 2043년 2234만 1000가구까지 증가한 뒤 감소세로 돌아서 2045년에는 2231만 8000가구로 추정됐다.

우리나라의 총인구가 2031년 5296만 명에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선다는 점을 감안하면 인구보다 가구 수 정점이 12년가량 후에 오는 셈이다. 2015년 총 가구는 전년 대비 1.65% 증가했지만 이후 증가율은 점차 낮아져 2044년 가구 수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한다.

시·도별로 보면 2015년 시·도별 총 가구는 경기(435만 5000), 서울(377만 5000), 부산(133만) 순에서 2045년에는 경기(562만), 서울(365만 2000), 경남(146만 9000) 순이 될 전망이다. 2045년 서울을 제외한 16개 시·도의 가구 수는 2015년 대비 늘어나지만 가구 수 정점은 이보다 앞서 찾아온다.

서울은 가장 빠른 2022년 379만 7000가구를 정점으로 2023년부터 가구 수가 감소한다. 대구와 광주는 2035년(98만 6000, 62만 3000), 부산과 울산은 2036년(142만 4000, 47만 4000), 경기와 경남은 2042년(563만 8000, 147만 4000) 각각 가구 수 정점을 맞는다.

나머지 시·도는 2045년까지 가구 수가 계속 늘어나는데 세종은 2015년 7만 3000가구에서 2045년 24만 4000가구로 235.4% 급증하고, 제주는 같은 기간 21만 8000가구에서 35만 9000가구로 64.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