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에서 살충제가 검출된 달걀생산 농장은 모두 3곳이다. 해당 지자체는 이들 농장에서 생산된 달걀은 모두 수거하여 폐기하기로 했다. 순식간에 밥상 안전까지 위협하던 달걀 파동은 이로써 진정 국면으로 정리가 되어 가는 모양이지만 한번 추락한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기까지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일반 닭은 물론이고 정부로부터 유기농 인증을 받은 농장이 더 많이 적발된 것은 달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에 불을 지른 격이 되었고 농장뿐 아니라 정부 인증체계에 대한 불신까지 더하게 했으므로 이것이 단기간에 불식될 수는 없다.

정부는 농산물 안전 인증체계를 강화하고 동물복지 농장을 확대하겠다고 했으나 정부 발표대로 될지도 미지수며 된다 하더라도 소비자들의 신뢰를 받기에는 미흡할 수밖에 없다. 농산물 인증체계는 지금까지 규정이 허술해서 이런 사태가 빚어진 것이 아니다. 규정은 규정일 뿐 농장에서 제대로 적용하는지 검증 못한 것이 원인이다. 닭은 자연 상태에서 키워도 죽는 경우가 허다하며 공장식으로 사육할 때 농장주는 도태되는 닭의 비율을 줄여야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어쨌든 잘 듣는 약을 찾기 마련이다. 또한, 소비자와 판매점은 생산비를 고려해주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싼 가격을 원하므로 인증체계는 언제나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정부의 규정이 미흡해서나 농장주의 인식부족과 탐욕의 문제보다 시장 조건과 여기에 부응해서 공장식 동물사육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충분히 인식한 정부 대책이 필요한 대목이다.

동물복지 농장 확대도 같은 맥락에서 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 식용 동물 사육은 이미 공장식 농장화된 지 오래다. 동물복지 확대가 필요하지만 그에 대한 소비자 비용과 생산자 부담은 풀기 어려운 숙제와 같은 꼴이다. 이런 뻔한 대책보다는 더욱 실질적인 대책이 있어야 한다. 조류 인플루엔자 창궐 당시 정부가 발표했던 가축위생 전담 부서를 강화하고 관련 전문가를 육성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대책일 수 있다. 이들이 농장과 밀착해 안전하게 사육해야 한다. 축산 공무원을 뽑아 놓고 정작 순환배치 명목으로 그 자리는 비전문가가 담당하는 한 먹거리 안전은 갈 길이 멀 수밖에 없다. 소비자 신뢰 회복은 정부와 농장이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해야 가능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