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축제 개별적 개최 중 "통합 대제전 추진한다면 이미지·동력 상승 기대"

가야사 복원 사업과 관련해 경남 도내 자치단체마다 치러지는 가야 관련 축제를 통합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경남발전연구원 김태영 연구위원은 '신라·백제·가야 관련 정책 추진실태 분석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가야사 복원을 기획주제로 다룬 국제표준정기간행물 <경남발전> 최근호에 실렸다.

김 위원은 가야사 복원 사업이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그동안 소외된 가야 역사를 재조명할 좋은 기회이나 자칫 전략적·체계적·협력적 로드맵 구축 없는 성급한 추진은 자제하자는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이 연구를 주도해 역사가 과장·왜곡될 수 있고, 가야 유적이 훼손되거나 정확한 위치를 알지 못해 실체에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지자체 경쟁으로 역사적 사실의 과대포장·전시행정·부실조사를 우려했다. 이에 김 위원은 기존 정책추진실태를 분석해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존 가야사 사업 답보 상태 = 2020년까지 세계문화유산등재를 목표로 하는 가야사는 2007년 1단계 복원사업 완료 후 2단계 복원사업과 가야문화권 특정지역 지정·개발계획 등 크게 두 가지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1단계 복원사업은 김대중 정부 당시 삼국사 대비 소외된 가야문화환경정비사업을 국책사업에 반영하면서 추진됐다. 1999년부터 2007년까지 16개 사업에 1297억 원이 투입됐다. 이후 노무현 정부가 이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자 2006~2022년까지 710억 원을 투입해 가야문화관 조성 등 2단계 사업을 발표했지만, 예산부족으로 사업추진이 미흡하다.

가야문화권 특정지역은 경남(의령·함안·창녕·거창·합천)·대구(달성)·경북(고령·성주) 8개 시·군 총 931.9㎢가 지정됐다. 2010~2019년까지 37개 사업에 9000여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개별 단위사업으로 각각 추진돼 예산 지원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등 예산집행률이 약 29%에 불과하다.

이는 고대사 관련 사업 규모나 예산이 상당히 크고, 유적 특성상 복원·정비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김 위원은 분석했다.

김 위원은 "세계문화유산등재, 특별법 제정, 조직·협력체제 강화 등 추진동력 확보뿐 아니라 국민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사업도 병행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합 '가야대제전'으로 판 키우자 = 가야사에 국민 관심과 참여를 끌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김 위원은 고대사 관련 주요 박물관·전시관, 테마파크, 축제 등이 관광수요를 어느 정도 확보한다는 점을 주목했다. 국립공주박물관·백제문화단지·가야테마파크 등은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경주세계문화엑스포는 1998년 개최 이후 20년 동안 2~3년에 한 번씩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경주시에 장소를 한정하지 않고 국내외 교류를 확대하고 있고, 백제문화제도 2007년부터 공주·부여가 통합 개최하면서 방문객이 늘고 있다.

03.jpg

그러나 가야 관련 축제는 김해 가야문화축제, 고령 대가야체험축제, 함안아라문화제, 고성 소가야문화제, 합천 대야문화제, 창녕 비사벌문화제 등 지자체별로 6개 축제가 독립적으로 열리고 있다. 김 위원은 "백제 공주·부여 같이 개최장소와 시기, 추진주체, 프로그램을 고려해 통합 '(가칭)가야 대제전'을 추진한다면 가야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예산 절감은 물론 가야 관련 사업의 추진 동력을 결집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한 이미 형성된 고대사 관련 관광수요를 기반으로 신라·백제·가야 등 삼국의 콘텐츠를 상호 연계·융합한다면 고대 4국으로서의 가야 위상 확립과 고대 한류콘텐츠 발굴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관련해 경남도는 이달 말 문화재청에서 가야사 복원사업 관련 정부 로드맵 발표에 맞춰 자체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