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초, 조선일보 '4대 강 자괴감, 보(洑)철거 추진 강력시사' 기사에서 김은경 환경부장관 후보자는 7월 3일 국회인사청문회에서 "이명박 정부시절, 4대 강 사업 진행과정을 보면서 자괴감을 느꼈다"면서 "4대 강의 재(再)자연화는 많은 분의 의견을 듣고 장기간에 걸쳐 추진해야 한다"고 밝힌 글을 보았다.

4대 강 재자연화는 대통령 공약사항이므로 앞으로 4대 강 보를 철거하겠다는 것이다. 새 정부가 16개 보를 철거하고 4대 강을 재자연화하겠다는 것은 앞으로 큰 재앙을 가져오고 행정력과 재정력을 낭비하게 될 위험한 정책임이 분명한데도 국회는 청문회 직후 장관 후보자의 청문보고서를 채택했으니 국회도 4대 강 보 철거에 동의한 것과 진배없으니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 또, 7월 19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4대 강 16개 보에 대한 재자연화 대책을 2019년부터 추진한다고 밝히면서 보 철거 또는 보 수문 상시 개방 같은 방식으로 강물 흐름 등을 4대 강 사업 이전으로 되돌리겠다고 했다.

4대 강 사업 이전에 본인이 낙동강 주변에서 자라고 보면서 경험한 강 주변 상황을 되돌아보면 지류들을 포함한 강 양안의 수없이 많은 제방(물막이용)들이 강물의 범람으로 수시로 붕괴하여 농민들은 재해를 달고 살았고, 또 가뭄이 심할 때는 강바닥 물이 말라 가뭄피해 또한 연례행사로 양수장이 있어도 수량이 부족하여 강을 모래가마니로 가로막아 양수할 물을 확보하느라 야단법석이었다. 식수부족도 마찬가지였다. 녹조니 뭐니 하는 행복에 겨운 걱정은 생각조차 할 겨를도 없었으며, 강바닥 고기가 말라죽고 물이 썩어 발을 담글 수 없어도 지금처럼 걱정해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기후 변화로 국지성 호우, 혹심한 가뭄이 점점 빈번해지고 있는 오늘의 재해를 내다보고 건국 이래 최대의 토목공사를 벌여 4대강 사업을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추진하였고, 지류 등엔 아직 사업을 마무리도 못한 상태에서 이를 백지화하고 사업이전의 생태계로 되돌아간다면 재자연화가 아닌 폐허로 변하는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미진한 4대 강 지류 공사의 마무리와 동시에 4대 강 보에 저장된 물을 가뭄지역으로 옮기는 유도수로를 설치하는 등 항구적인 가뭄대책을 강구하는 새롭고 신선한 정책을 국민은 기대하고 있다.

4대 강 사업은 식수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국가 차원의 다목적 사업이다. 식수 대책은 강변 여과수를 별도로 개발하면(경남 함안군의 경우 100% 강변여과수 사용) 간단히 해결될 일이고, UN이 정한 물 부족 국가에서 수량 확보는 절대 필요한 시책인데 재해방지용 보(洑)를 철거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무엇보다 후손들에게 물려줄 국민의 생명줄 같은 소중한 다목적용 자원을 함부로 철거하거나 보를 상시개방해서는 절대로 아니 될 일임을 알아야 한다.

진종삼.jpg

특히, 낙동강 보는 전문지식도 없고 재난을 당해본 경험도 없는 일부 환경단체와 교수들이 유난히도 낙동강에 대해서만 비판적이고 강물의 유속이 느려 녹조가 발생한다느니, 보가 있어 그렇다느니 하면서 보 철거를 수시로 주장하고, 언론 또한 이를 여과 없이 보도하고 있어 사실이 왜곡되고 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현 정부 임기 내에 최소한 낙동강 등에 있는 보 1∼2개 정도는 철거한다는 방안을 강구한다고 한 것은 현 정부의 정책도 낙동강을 표적으로 삼는 것 같은 느낌이다. 만일 보를 철거한다면 우기를 제외하고는 강물이 아예 말라버릴 것이고, 말라버린 강바닥에는 녹조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보를 상시 개방한다고 녹조가 없어진다는 것은 이론상 있을 수 없다. 이것을 녹조에 대한 대책이라 한다면 한낱 웃음거리 시책이 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