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여 사이에 마필관리사 두 명이 잇달아 목숨을 끊은 부산경남경마공원 사건은 현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라는 정책적 이슈와 맞물리면서 충격파가 크다. 아직 장례조차 치르지도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국공공운수노조와 사용주인 한국마사회가 해결점을 찾자며 여러 차례 한자리에 앉아 대화로 타협책을 모색했으나 입장차이만 확인했을 뿐 앞으로 더 나아가지 못해 장기화할 우려마저 없지 않다.

이러다 제3 제4의 희생자가 나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는 만큼 갑의 위치에 있는 마사회의 소극적 태도를 비난하는 소리가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서로 견해가 엇갈리는 지점은 고용형태와 연관되어있다. 공공운수노조는 마필관리사를 마사회가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지 않고서는 현재 조교사의 관리 아래 비정규직도 아닌 간접 채용 방식이 계속되는 한 과중한 업무는 물론이고 열악한 근무환경으로부터 벗어날 길이 막연하다고 하소연하는 것이다.

하지만, 마사회나 부산경남경마공원은 손사래로 일관한다. 전국적으로 그 많은 마필관리사를 직접 고용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는 것이다. 이해 못 할 바는 아니다. 개인 마주와 조교사가 계약에 의해 독립채산제로 운영되고 그 밑에 마필관리사가 소속되어있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은 한눈에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잠복 적폐나 다름없는 구태적 고용구조를 개선할 의사는 갖고 있지 않으면서 일방적인 경영논리만 고집한다면 공기업인 마사회의 존재 명분은 바로 서기 어렵다.

현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도 맞지 않으며 고용안정화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음지에서 일하는 상대적 취약계층의 실정을 살펴 바로 잡을 게 있으면 과감하게 물꼬를 틀어야 한다. 그것이 올바른 대처법일 것이다.

안된다고 말하기는 쉽다. 특히 힘을 가진 위치에서는 더구나 쉽다. 그렇지만, 습관적으로 칼날을 세우고 있으면 간단하게 해결될 수 있는 일도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법이다. 두 사람이 주검이 되고 장례도 치르지 못한 유가족들이 비탄에 쌓여 있다. 수술의 손길이 가지 않고서는 이른바 죽음의 경주는 근절되지 않을 것이다. 마사회는 공공의 이익을 도모한다는 차원으로 여기에 답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