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지주 회장 선출을 앞두고 부산은행 노동조합을 비롯하여 부산 지역 시민·상공단체서 '낙하산 인사'에 대한 우려가 퍼지고 있다. 정치권에 줄을 댄 외부 인사들이 회장 자리를 노리고 있다는 이들의 우려에 대해 지역언론도 가세하면서 의혹을 기정사실화하는 듯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드러난 상황으로 볼 때 BNK금융이 낙하산 인사에 '점령' 당할 수 있다는 걱정은 뚜렷한 근거가 없다.

'정부가 앉힌 외부인사'가 금융권의 적폐임은 분명하다.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국책·시중은행 가리지 않고 CEO와 임원 자리에 낙하산 인사들을 심는 폐해가 심했던 것이 사실이다. 문재인 정부는 금융권의 낙하산 인사 관행을 없애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BNK금융지주 회장 후보에 지원한 이들 중 부산 지역에서 낙하산 인사로 지목한 인물은 모두 BNK금융 현직에 없는 '외부인사'들이다. 이들을 낙하산으로 규정하려면 정치권과의 결탁 등 상당한 혐의를 찾아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외부인사를 무조건 배척하는 태도라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 특히 이들 중 박영빈 전 경남은행장조차 낙하산 혐의를 받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사실 박 전 행장은 외부인사라고 하기도 어렵다. 전직 경남은행장에게 외부인사도 모자라 낙하산 인사 혐의를 씌운다면 BNK금융그룹의 한 축인 경남은행 임직원들이 수긍할지 의문이다. 부산 지역언론에서는 차기 회장의 내외부 인물 공모 방식이 내부 인사가 빠진 BNK금융지주 이사회 겸 임원추천위원회에서 결정된 점에 대해서도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이 지목한 임원추천위 '외부인사'는 사외이사와 비상임이사이다. 그러나 임원추천위는 적법하게 구성되었고 절차에 따라 역할을 수행했을 뿐이다. 사외이사마저 외부인사로 취급하고 임원추천위 결정을 불신하는 것은 경직되고 편협한 사고이다.

금융권의 낙하산 인사 관행은 근절해야 마땅하지만, 정치권의 외압이 있지 않은 한 외부 인사를 무조건 반대하는 것도 잘못이다. BNK금융의 내부 인물인 성세환 지주 회장은 주가조작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 인맥과 연고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인사가 지주 회장에 선출된다면 BNK금융에 새 바람을 불러올 수도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