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의 해양플랜트 국가 산단 조성을 두고 거제시와 지역 시민단체 간 공방이 뜨겁다. 해양플랜트산단은 2012년 대선 박근혜 대통령 공약이었으며 거제시 사등면 사곡만 일대 매립 후 500만㎡ 규모의 해양플랜트 기자재 생산단지 조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민관이 공동 투자하는 이 사업은 박근혜 정부 이후 일사천리로 추진되어 현재 국토교통부의 중앙산업단지계획심의회 결정만 남겨놓았다. 거제시는 해양플랜트산단 조성이 침체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장담하지만 이 사업은 따져봐야 할 점이 많다.

가장 큰 문제는 조선산업의 침체가 극심한 현재 해양플랜트 사업이 얼마나 전망이 있느냐다. 해양플랜트 사업은 조선산업 위기의 주범이었다.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은 2010년 이후 해양플랜트 사업을 무리하게 확장하여 2105년 한 해만 이 분야에서 총 7조 원이 넘는 손실을 기록했다. 그 결과 2015년 조선 3사의 영업이익은 대우조선해양 -5조 5051억 원, 현대중공업 -1조 5401억 원, 삼성중공업 -1조 5019억 원 등 총 8조 원대의 천문학적인 적자를 낳았다. 또 해양산업의 특성상 대외적 요인에 기대는 바가 큰데, 유가가 오르고 있음에도 세계 경제가 쉽사리 회복된다는 보장도 없다. 따라서 조선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는 전망에만 기대어 해양플랜트산단을 추진하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크다.

경제적 이득의 불확실성 외에도 해양플랜트산단은 졸속 추진 의혹과 환경파괴 논란도 받고 있다. 거제시는 사업 추진 기관으로 설립된 거제해양플랜트국가산업단지(주)에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을 포함하여 35개 업체가 참여했다고 밝혔지만, 시민단체들은 휴업 중인 업체도 다수 들어 있다고 밝혔다. 구조조정 중인 조선기업들이 실패한 사업에 의욕적으로 투자할지도 불확실하거니와 이미 대우조선은 플랜트 산업 축소를 밝혔다. 또 사등면 사곡만 일대 갯벌에는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 동식물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 연안이 매립되면 지역민들도 터전을 잃게 된다. 해양플랜트산단은 조선업이 활황이던 때 추진됐으므로 환경이 급변한 현재 원점에서 검토해야 한다. 국토부의 신중한 결정을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