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와 경남도, 도교육청이 태스크포스를 꾸려 현안 해결에 나서기로 했다. 산적해 있는 문제들이 엉킨 실타래 꼴이 되어 있는 현실에서 앞으로 세 기관이 협치를 어느 정도로 이루어낼지 도민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경남도의 교육을 책임진 세 기관이 협치로 풀어야 할 현안들은 이전의 대결 구도로는 한결같이 풀어내기가 만만치 않은 것들이다. 무상급식 복원, 학교용지 부담금 정산, 도의회 교육위원회 전문위원실 교육청 정원으로의 조정으로 이 현안들을 풀자면 서로의 입장에 대한 이해와 경남교육을 잘되게 하겠다는 의지가 기본 전제다. 현안들이 술술 잘 풀릴 기대를 하게 하는 것도 사실이나 아직 태스크포스는 협의 단계다. 각 사안별로 각 2명씩 총 18명으로 실무협의를 해 나갈 예정이지만 어디선가 암초가 나와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태스크포스팀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현재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지만 구성원의 무게감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그래야 내부 조율과 합의 도출이 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태스크포스가 꾸려진 이후도 아직 장담할 단계는 아니다. 가장 난제로 지목되고 있고 주민투표와 고소고발이 난무했던 무상급식 건을 해결하려면 우선 서로 신뢰회복이 있어야 한다. 도교육청이 무상급식 예산 분담비 조정에 대해 기존 입장을 백지화하고 도의회의 중재에 따라 합의하기로 한 것은 일단 자리를 잘 깐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의회가 중립을 표방하고 있지만 한국당이 지배하는 구조상 언제든지 협치정신이 깨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교육청도 1000억 원가량의 부담이 생기는 경남도와 일선 시·군의 입장에 대한 이해는 필수다. 또 한 가지 걸림돌은 정부 조직개편안 처리 변수다. 현재 권한대행 체제로는 덩치 큰 사안을 해결하기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것인데 실제로 경남도는 도교육청이 제시한 무상급식 예산 분담금 조정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아무리 문제가 복잡하고 길이 멀어 보여도 시작이 반이라는 말처럼 못 풀 것도 없다. 기왕에 협치로 가기로 했으면 오로지 경남교육이 바르게 가는 길만 봐야 한다. 그것이 경남도민이 바라는 유일한 길이라는 것을 모두 유념해야 할 때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