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정당 재검토 촉구 "인근 빈 산단 활용하자"
시 "거제서 성공해야 하동 등 타 지역에도 파생효과"

바다를 메우고 땅을 파 조성하는 500만㎡(약 151만 평) 규모 거제 사곡 해양플랜트산업단지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거제 지역민과 20여 개 시민단체, 정당 등은 최근까지 함께 반대 성명을 발표하고 사업 재검토를 정부에 탄원하거나 시위를 했다. 지난 12일에는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이 청와대 관계자와 면담했다. 여기에 더해 산단 철회(?)가 대통령 협약 사항이라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거제 사곡 해양플랜트산단은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산단 면적은 육지부와 해면부를 합쳐 500만㎡(151만 평, 육지부 184만㎡, 해면부 316만㎡)로 초대형이다. 사업비는 1조 7900억 원 규모다.

환경단체 등은 사업지가 도심과 불과 1~2㎞ 떨어진 곳이란 점, 사곡해수욕장이 인근에 있다는 이유, 42건의 각종 어업권 등이 있고 주민 반대 여론이 높다는 점, 불황에 따른 사업 추진 불확실성 등을 들어 반대하고 있다. 또 개발 예정지에 수달 등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 동식물이 대거 서식하고 있어 오히려 보존해야 할 지역이란 주장이다.

반대 측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무분별한 연안매립을 하지 않겠다고 협약했고 이 협약에는 거제시 사곡만 매립도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현 시장의 한 측근이 9억 원을 들여 산업단지 예정지 섬 약 6200평을 사들인 사례 보도, 산단이 필요하다면 하동갈사만산단처럼 승인이 났거나 통영·고성 등 산단을 정상화시키는 것이 우선"이란 견해다.

반대 측이 말하는 인근 지역 산단은 해양플랜트 등으로 추진한 통영, 고성, 하동 등 산업단지를 말한다. 통영의 안정일반산업단지, 덕포산업단지, 법송산업단지 등을 일컫고 고성군은 동해면 해역을 중심으로 추진한 조선특구 산업단지를 뜻한다. 하동군 갈사만은 대표적 해양 플랜트와 관련해 만든 산업단지다. 이들 대부분은 현재 개점휴업 상태이거나 아직도 조성 중(또는 표류 중)이다.

거제 지역 한 기업가는 "거제 플랜트산단은 목적대로라면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등 협력업체가 입주해야 하는데 파산 등으로 대부분 형편이 안 된다. 그런데 통영·고성·하동에는 허가가 난 산단이 널브러져 있고 땅값도 싸다. 관련 산단 다수가 비어 있어 이를 활용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반면 거제시는 해양플랜트 국가산업단지 조성 등이 거제 미래의 한 축이란 견해다.

거제시 관계자는 "해양플랜트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정부 정책과 진단에 따라 산단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라며 "산단 조성으로 대우조선해양이나 삼성중공업에 종속되지 않는 견실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유치·육성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경남선대본부와 한 협약서 어디에도 국가산단을 원점에서 재검토하자는 내용은 없다. 협약 내용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환경단체 등이 주장하는 내용이 아니다. 아쉬운 부분이 많다"고 강조했다.

관계자는 이와 함께 "하동 갈사만은 수심이나 퇴적토 문제가 있고, 주위 인프라가 안 된 상태에서 추진됐다. 현재 금속제철로 업종을 바꾸고 있다. 고성군 산단은 LNG벙커링 단지로 변경 중이다. 국내에는 해양플랜트 전문 산단이 없다. 조선산업도 빅3에서 시작해서 점점 퍼져 나갔듯이 해양플랜트는 지금 뿌리를 내리는 시점이다. 거제 해양플랜트산단이 메인으로 자리를 잡고 경쟁력을 가져야 그 파생 효과를 띨 수 있다. 빈 산업단지를 활용하자는 주장은 산업적 특성을 외면하거나 단편적으로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