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진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주민 민원을 비롯해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같은 전형적인 장애물뿐만 아니라 입주 기업이 실제로 얼마나 될지에 대한 의문까지 더해진 결과이다.

창원시는 현재 공영개발 방식으로 상복, 평성, 용정, 덕산, 수정 지역에 총 250만㎡ 규모의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이 중에서 11만㎡ 규모의 상복단지만 제대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평성산단은 사업이 이제 시작되었다는 핑계라도 댈 게 있지만, 나머지 3개 산단 조성 사업은 각종 장애물에 부딪히고 있다. 특히 수정산단 조성사업은 여러 번의 변경을 거쳐 사실상 30년째 표류 중이다. 물론 지역주민의 의견을 고려해 수정산단은 전기·전자·로봇업종 기업들을 유치한다고 했지만, 정작 입주 의사가 있는 기업을 찾기조차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민들이 공해나 오염물질 발생이 적은 기업을 유치하려고 희망하더라도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은 큰 격차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현실과 기대는 전혀 다를 수밖에 없는데도 행정이 이를 반영하지 않고 주민의 눈치만 보다 보니 벌어진 일이다. 지역 주민의 실현 불가능한 요구를 무조건 받아들이는 게 결코 능사가 아니다. 오히려 문제를 회피하면서 시간만 때우거나 지역여론 눈치를 살피는 꼴과 다를 바가 없어 보인다. 이런 식의 사업진행을 하려면 산업단지 부족을 호소하는 기업의 실제적 요구부터 들어볼 필요는 있다.

먼저 산단 유치 단계에서 업종별보다 기업규모별 접근이 필요하다. 물론 특정 전략산업단지 조성사업의 경우 대기업이 유치되면 부수적으로 부품 관련 중소규모 기업 유치도 동시에 가능할 수는 있다. 이렇다 보니 거대기업 유치에 지자체가 목을 맬 수밖에 없지만, 현실적으로 아주 소수의 예외적인 경우에만 해당한다. 그래서 특정 업종의 산단보다 중소기업의 요구가 우선하는 일반산단 조성사업이 필요하다. 특히 창원국가산단의 높은 부동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중소기업 처지에서는 신규 산단 조성을 요구할 수는 있다. 하지만 신규 산단을 채울 수 있는 정도의 요구가 아니라면 창원공단 유휴 터를 도시계획 변경 없이 활용하는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