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만 씨 칠순 맞은 아내에게 '소이소' 노래 선물
'동지여 내가 있다'도 1987년 김 회장이 지어

김영만 전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장. 창원지역 시민사회운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 들었을 이름이다.

김 전 회장이 최근 노래 하나를 지었다. 제목은 '소이소'다. "어서오이소"라는 정겨운 인사말이 때로는 '소이소'라 들리기도 하는 데서 착안했다.

이 곡은 지난달 창원 마산합포구 오동동 일대에서 열린 '마산 아구데이 축제'에서 첫선을 보였다.

노래는 김 전 회장의 아내 이현숙 씨가 불렀다. 올해 칠순을 맞은 아내에게 김 전 회장이 전하는 선물이다.

"아내가 요양원 등을 찾아 노래로 봉사를 하는데, 매일 남의 노래만 불렀어. 올해 칠순 선물로 무얼 할까 고민하다가 노래를 바치게 됐네."

▲ 김영만 전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장.

모두 3절인 노래에는 '마산' 정취가 묻어난다. 2절에 등장하는 '서 마지기 산자락'은 무학산(두척산)을 노래한다. 3절 한 토막인 '노래 속에 옛 바다'는 그리운 고향 남쪽 바다, 마산만이다.

'마산'이란 이름이 주는 그리움과 아내를 향한 사랑을 담아 하루 만에 지은 곡이다.

김 전 회장은 "만 30년 만에 노래를 만들었는데 감회가 새롭다"고 전했다.

지난 1987년 6월 항쟁을 거쳐 그해 7·8·9월 노동자 대투쟁 현장까지, 입으로 전해진 곡이 있다. 바로 '동지여 내가 있다'. '그날이 올 때까지 그날이 올 때까지 우리의 깃발은 내릴 수 없다'던 노래는 누가 지은 지도 모른 채 민중으로부터 불렸다.

30년 전 김 전 회장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접하고 고인 영전에 장송곡 하나 바치고자 곡을 지었다.

이후 6월 항쟁에 굴복한 정권은 마침내 6·29 민주화 선언을 했다.

이를 기점으로 억눌렸던 노동자들의 파업 투쟁이 폭발했다. 그 현장에서 '동지여 내가 있다'가 큰 호응을 얻었다.

당시 쏟아진 다양한 투쟁가들은 테이프에 담겨 널리 퍼졌지만, '동지여 내가 있다'는 오로지 입으로 전해졌다.

그래서인지 각이 졌던 처음 곡 분위기는 둥글둥글해졌고, '우리의 깃발은 내릴 수 없다'는 가사는 '우리의 투쟁은 멈출 수 없다'로 변했다.

그로부터 30년 후 또 한 번의 6월이 지났다.

지난달 6월 항쟁 30주년을 기리는 기념식 자리에서 김 전 회장은 "6월 항쟁은 30년 동안 멈추지 않았고 마침내 촛불혁명으로 새로운 역사가 됐다"고 말했다.

같은 날 기념식이 열린 마산합포구 창동사거리 바닥에는 기념 표석이 박혔다.

김 전 회장은 "30년 전 '동지여 내가 있다'를 지을 때 이런 날이 오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며 웃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