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속을 높여 4대 강 녹조 발생을 억제하겠다는 정부의 야심이 희망사항으로 남을 우려가 커졌다. 한 조사통계에 따르면 수문 개방 한 달 동안 처음에는 약간 빨라지는 듯했던 유속이 얼마 가지 않아 전의 느린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부분적이나마 보의 수문을 열어 물흐름 속도를 높이면 녹조가 발붙이지 못할 것이라는 애초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가버린 결과다. 낙동강은 수량을 늘려 물흐름을 배가시켰는데도 녹조가 더욱 기승을 부려 종전까지 합천창녕보와 창녕함안보 등 주로 하류 수역에서 나타난 녹조대가 중류로 확산하는 추세를 보여 관심단계의 조류경보도 높은 단계로 상향 발령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게 한다. 흐르는 물의 양이 늘어나기는 했지만 자정력을 원래대로 끌어올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보를 완전히 개방해 강물이 흐르는 속도를 자연적 상태로 되돌리는 외에 달리 수단의 여지가 없다는 주장은 전문 학자들이나 환경을 옹호하는 민간운동단체들이 끊임없이 제기했던 담론이다. 6월 한 달 동안의 부분적 찔끔 개방이 그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단지 보의 수위를 약간 낮추는 대책으로는 강물의 생명력을 지킬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이다. 수백만 주민의 젖줄인 강물이 철철 흐르지 못하는 관계로 녹조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어족과 수생식물이 살 터를 잃게 된다. 그런 상태가 오래가면 주변환경이 피폐해져 보기 흉한 속살을 드러낼 것은 정한 이치다.

아직 속단하기 이르기는 하다. 가뭄과 더위가 겹쳐 평상시의 일반적 환경 조건과 궤를 같이해서 이해하는 것은 단견일 뿐이라는 반론과 마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업용수를 제외한 보의 유해성은 공사를 시작할 때부터 나왔다. 보와 농업용수 사이에 조성된 함수관계는 상생이 아닌 상극의 대립 논리로 말미암아 필요 이상으로 왜곡돼왔음을 숨길 수 없다. 더 늦기 전에 포괄적이고도 세부적인 종합대책을 만들어 강의 건강을 담보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강은 흘러야 한다는 궁극적 목표를 잊지만 않는다면 의외로 해답은 쉽게 찾을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