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창원의 주차장에서 금품을 노린 여성 납치·살해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는 납치 2시간여 만에 살해돼 흉악범죄에 대한 사회적인 우려 역시 높아지고 있다. 강력범죄를 단절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줄일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먼저 물리적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여성을 상대로 한 강력범죄가 시간이 갈수록 늘어가는 추세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자료를 보면 각종 강력범죄 피해자 중에서 여성 비중은 88.9%이고 전체 여성 피해자의 수도 2000년에 비해 4.5배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 피해자는 약 1.4배 증가한 현실을 고려하면 강력범죄가 여성에게 집중되고 있다. 현실이 이렇다보니 그동안 피해를 당할 개연성이 많은 여성 스스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범죄예방 논리도 존재해 왔다.

하지만 범죄가 발생하는 시점과 공간에 우연히 같이 있었다는 이유 같지도 않은 이유가 범죄 원인으로 되는 건 정말로 비정상이다. 스스로 조심한다고 강력범죄가 해결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늘어나는 강력범죄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부터 논의하는 게 순리다. 먼저 강력범죄가 발생하는 일차적 원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은 경제적인 이유가 차지한다. 즉, 금품을 노린 범죄가 다수라는 점이다. 원인 제거를 위해 경찰이나 피해자가 역할을 해야 하는 게 아니라 정치권의 몫이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범죄발생 원인 제거가 어렵다고 흉악범죄를 방치할 수는 결코 없고, 오히려 단기적으로 범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범죄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범죄자에 대한 실질 검거율을 높이는 것이다. 죄를 저지르면 벌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하나의 사회문화로 만들어서 범죄예방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삼아야 한다. 역으로 범죄 피해자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높이는 사회문화 역시 고양해야 한다. 이런 문화를 바탕으로 해야 범죄예방의 협조자로서 시민들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즉, 경찰에게 모든 책임을 지울 게 아니라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있어야 강력범죄의 감소를 기대할 수가 있다는 점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