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강 사업 이후 6년 연속 남조류가 창궐하자 창녕함안보 상시 개방 약 3주 만에 제1차 보개방 모니터링 민관협의체 회의가 열렸다. 낙동강유역환경청과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가 차례로 모니터링 상황과 보 시설 개방 현황, 농업용 양수장 관리 현황에 대해 브리핑한 것이다.

브리핑에서는 보 개방 이후 특별한 문제가 드러나지 않았다고 했지만, 참석자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한 전문가는 자료에서 보면 조류경보제와 수질예보제에서 유해남조류 세포수 차이가 나는데 이것 자체가 문제라며 조류경보제가 과소평가 되도록 설계됐다는 것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반드시 수정돼야 한다고 했다. 이미 정부도 취수구 높이 때문에 1단계 보 개방 높이를 양수제약수위에 맞출 수밖에 없다고 인정한 바 있다. 지난 1일 합동브리핑에서 개방시 수위를 많이 내리지 못하는 것은 양수장 취수구 위치 때문이라고 했다. 4대 강 사업 초기부터 보 하상 세굴이나 바닥 층 침하로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했고, 이번에 수문개방을 하면서 양수시설에도 문제가 나타났다. 어민들도 누적토로 강바닥이 다 썩어 물고기가 살 수 없다며 생존권을 호소했다. 공통적으로 낙동강에 어류가 다 죽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수중생태계에 대해 어디 기관이든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사전 자료가 없어 예전과 비교하기 어렵다면 최소한 어민들한테 탐문해 기초자료라도 확보하면 될 것인데, 이마저도 객관적이지 않다며 인정하지도 않는 풍토에 대해서도 일갈했다. 실제로 객관적인 자료가 없을 때에는 주민탐문도 중요한 근거자료로 삼는 것이 일반적이다.

환경단체가 제기한 식수 안전과 관련해 마이크로시스틴 조사 계획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물환경연구소가 단순히 정수장 처리를 거치고 나면 검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 아니라, 연구자들 연구에서는 검출되고 있으므로 정수장에서 검사하는 부분도 다시 들여다볼 일이다. 덧붙여 앞으로 녹조 발생시 시민에게 공개하는 대책과 수돗물 안정성에 대한 대책마련을 위해 수자원공사가 앞장서서 본포·칠서 등 각 자치단체와 협력하여 계획을 세우는 방안 마련도 시급해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