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부선 계류지는 화물운반선이나 자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는 바지선 등을 평소에 묶어두는 물양장을 지칭한다. 많은 수가 한곳에 정박해있다 보니 쓰레기가 다수 배출되고 기름이 유출되는 등 주변 환경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부산시가 그런 악조건을 탈피하고자 수년 전부터 영도구 봉래동에 있는 예·부선 계류지를 여러 곳으로 분산배치하는 계획을 세운 것까지는 좋았으나 최근 신항 배후 수역인 창원시 진해구 웅동을 그 대상지역으로 삼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창원시와 의회, 수산 관련 민간기구들의 반발이 예사롭지 않아 한차례 분란이 일어날 태세다. 어쩌면 혐오시설이라는 오명을 들어 할 말이 없을 듯한 계류지를 이웃 자치단체 행정구역으로 떠넘기려는 저의를 그냥 보고 있지 않겠다는 것이다.

괜한 시비가 아님은 물론이다. 신항의 관할권이 부산시에 있다지만 권역 70%가 진해구 소재여서 경남 지분이 훨씬 많다는 것은 자타가 인정한다. 부산 관련 기관들이 경남 쪽과 사전협의나 양해 절차를 구하지도 않은 채 마음대로 들고나는 수단을 강구해도 좋을 처지가 아니다. 그뿐이라면 지역이기주의를 앞세운 명분용 반대로 몰아세울 수 있는 핑곗거리가 될 수 있을지 모르나 예정지로 잡은 웅동 영길만 해역은 그리 넓지 않은 데다 물흐름도 원활한 편이 아니어서 계류장으로 이용될 때 혼잡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위험부담이 많다는 얘기다.

이웃하는 자치단체가 이해와 협조를 바탕으로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것은 권장할 일이다. 그 과정에서 본의와는 다르게 손해를 입기도 하고 때로는 덕을 보기도 한다.

그러나 신항을 중심으로 한 개발행정에서 경남이 늘 제2선으로 밀려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는 불만이 팽배한 와중에 부산의 일방적 주도로 계류지 월경 문제까지 불거졌으니 조용할 수 없다. 계획을 철회하는 것이 제일 좋은 해결책임에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하지만 우선 당사자들 간 소통 기회를 만들어 왜 그러한 일방향의 독단적 설계도가 그려졌는지를 규명하고 그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