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류에 있는 4개 보가 이달부터 수문을 열고 물을 흘려보내고 있으나 녹조를 예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어 문제다. 환경부가 강정고령보에 '경계' 단계 조류경보를, 창녕함안보에 '관심'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지난 보름 동안 취해진 응급조처에도 그 효과는 미미하다는 것이 판명됐다. 실제 경보 발령과는 상관없이 환경관련 단체나 주민들에 의해 녹조 출현이 관찰된 것은 이미 오래됐고 컵으로 물을 뜨면 진초록 물감을 풀어놓은 듯한 녹조 알갱이들이 채집된다.

아직 초기 단계라 관망을 요구한다 해도 본격적인 여름 더위가 찾아오면 설사 비가 내려도 쉽게 수그러들지는 미지수다. 활성탄을 충분히 비치해 정수작업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당국은 해명하고 있지만 만약 정도가 더 나빠져 '경계' 단계로 악화하는 사태가 도래한다면 마실 물마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녹조가 번지면 독성 남조류가 생성되고 어족의 서식환경이 치명타를 입게 된다. 또 전체 수역 생태계에 미치는 타격이 예사롭지 않다. 농사철 안전 영농에도 비상이 걸린다. 얼마 전 표본조사에선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독성물질이 검출돼 경각심과 함께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올해에는 다행히 새 정부의 특단적인 정책에 힘입어 혹시나 녹조 발생이 저지될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이 커졌으나 빗나가버린 것이다.

상황이 이와 같은 만큼 현재의 찔끔식 수문 개방으로는 효과가 없으며 완전 개방이나 하다못해 턱을 더 낮추어서라도 흘려보내는 물의 양을 늘림으로써 물 빠름에 의한 자연 치유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것이다. 이는 물론 그리 간단히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아니다. 보의 저수량을 낮춰 수위가 내려가면 일대 지하수위가 따라 내려가 농사에 지장이 따른다는 반론이 만만치않기 때문이다. 하필이면 날씨가 메말라 그러한 반대 여론을 반박할 수 있는 여지는 그만큼 좁은 게 사실이다. 그러나 4대 강 사업 이전에도 영농활동이 무리 없이 계속돼왔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강을 죽이는 녹조는 박멸을 최우선 순위에 둘 수밖에 없고 그 방법론이 자연상태로의 복원에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실사에 들어간 감사원 감사가 이런 전후 인과관계 규명에도 제 몫을 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