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AI)가 또다시 발생해 전국적으로 번지고 있다. 이번에는 애초 발생한 전북 군산 종계농가로부터 닭을 공급받은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소규모 농가에 번졌다. 방역당국은 가축거래 상인들의 살아있는 가금류 유통행위를 2주간 금지하는 등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초동단계의 차단이 실패했고 소규모 유통을 통해 번진 것을 추적하기도 쉽지 않아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번 AI 발생은 7개월 전 발생해 전국을 강타한 AI 종식을 선언한 지 불과 하루 만이다. 철새 도래와 맞물려 주로 겨울철에만 발생하던 것과 다르며 잠복 기간을 포함, 상시 발생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있다. 그러나 정부 관련 부처의 대응은 상시적 대응을 못 하고 있다. 전과 다르게 닭 등 사육농가에 대해 철저한 관리와 자발적 신고를 하라는 문자메시지는 하루에도 수십 건 보내지만 그것은 기본 중의 기본에 지나지 않는다.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진작에 세워 사육농가에 대한 관리에 들어갔으면 이번 사태도 막을 수 있었기에 전국적 피해양상을 고려할 때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539798_412057_4326 (1).jpg
▲ AI 방역. /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부는 이번 사태가 소규모 농장 위주로 발생했기 때문에 닭·오리 등이 유통되는 전통시장과 소규모 사육농가를 중심으로 유통금지와 생닭 공매수를 하고 있지만 현장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그동안 주로 대규모 사육농가에서 AI가 발생한 것과 영세 상인들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고 턱없이 낮은 생닭 공매수 가격 때문이다. 정부가 무분별한 토종닭 공매수 정책을 강제하면 토종닭 씨가 마를 것이며 가금류의 종 다양성은 영영 회복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해마다 축산관련 공무원을 선발하지만 일선 시·군에서는 제대로 활용 못하고 있고, 다른 부서나 각종 행사에 동원되다 보니 정작 가축위생 관련 업무는 탁상행정이 되기 쉬운 관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사태를 통해 정부는 사후 호들갑 정책에 매달리는 한계를 벗어나야 한다. 촘촘한 방역 체계를 만들고 사전 관리 쪽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 전담 부서 설치와 방역 전문인력 양성도 시급하다. 전문성이 부족한 공무원들에게 맡겨 놓고 대통령까지 나서서 채찍질을 해대는 것은 남의 봉창 두드리는 것과 진배없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