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호주계 사모펀드 프로스타 캐피탈에 매각된 경남에너지가 공공재를 공급하는 기업으로서 앞으로 공공적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 정의당 노회찬 의원은 3년 전 경남에너지를 사들이면서 750억 원을 투자했던 2대 주주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이번에 자기 주식 등을 제외하고 1850억 원의 시세차익을 거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모펀드가 기업을 인수하고 되파는 데는 일정한 공식이 있다. 사모펀드는 흑자 기업 인수, 단기간 이익 극대화, 매각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은 불과 수년 안에 완료되는데 매각 이전의 경남에너지도 똑같은 공식을 밟았다.

경남에너지는 극심한 조선 경기 불황에도 안정적인 경영 성과를 이어왔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5년 경남에너지의 당기순이익은 2010년 180억 원에서 2015년 225억 원으로 25% 상승했다. 그러나 이 기간 직원 감축과 인력 재배치 등 큰 규모의 인력 구조조정도 단행됐다. 안전관리비와 사회공헌비 또한 매우 줄어들었다. 높은 경영 성과의 원인 중 하나가 인건비 등 지출을 감소한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앞으로 경남에너지도 인건비 삭감 등 지출을 줄이는 데 더욱 힘을 쓸 가능성이 크다. 기업을 되팔아 차익을 남기는 것이 목적인 사모펀드로서 이익 극대화에만 집중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소비자 입장에서 걱정되는 것은 요금이 인상될지 모른다는 것이다. 경남에너지는 도시가스 공급업체로서 경쟁자 없이 독점적 시장이 확보돼 있는데다 조선소와 산업단지가 밀집한 경남 특성상 다른 지역의 업체보다 높은 수익이 보장돼 있다. 그럼에도, 매각 이전에도 경남에너지가 막대한 이익을 얻는 것과 달리 서비스나 사회공헌에는 소홀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경남에너지가 매각 대금을 빨리 상환하려고 지출을 줄임으로써 지역민에게 피해가 돌아가지 않도록 지금이라도 감시와 견제가 필요하다. 경남도가 요금 인상을 승인하는 권한이 있지만 그동안 심의가 허술했다는 지적이 많았다. 경남도를 포함해 도의회 차원에서 도시가스 요금 체계와 그동안의 요금 인상이 합리적인지, 경남에너지의 매각 과정이 정당했는지 등을 살필 필요가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