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된지 석 달 만에 고3 얼굴 된 아들
알랭 드 보통의 행복론 펼치자 심드렁

'행복'이란 말을 꺼내기가 미안한 세상이다. 안정된 생활을 보장하는 직업을 가질 기회, 재난·사고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안전이 보장되지 못한 사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행복을 말하면 마치 옆에서 눈치를 주는 것 같다. "행복하기까지 바라?"

마침 어젯밤 TV에 철학하는 작가 알랭 드 보통이 깜짝 출연해 행복을 말했다. "한국에 여섯 번이나 왔다는데, 한국인들은 행복해 보이나?" "NO!" 그는 행복하기 어려운 한국인들의 평균적 여건, 살인적 경쟁체제 같은 걸 이유로 꼽았다. 하지만, 그 뒤 메시지는 희망적이었다.

"(하지만)그게 문제라 생각 안 한다. 그렇게 행복한 사람은 없다." "그럼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나?" "한국인들은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걸 알면 행복해질 준비는 돼 있는 거다. 미국인들을 보라. 그들은 전혀 행복해 보이지 않는데도 행복하다고 말한다. 하하하."

그가 덧붙인 한국인의 두 가지 심성이 솔직함과 '멜랑콜리함'이다. 감정에 솔직한 면, 슬프면 있는 그대로 슬픔에 빠지는 한국인의 멜랑콜리가 행복이라는 감정을 그만큼 갈구하게 할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희망적이었다.

요즘 술 한 잔 되면 나는 아들에게 '행복'을 말한다. 아들이 고1이 되면서 맨정신에 하는 대화가 점점 더 건조해지는 것도 그렇게 하는 이유다. "… 쫌 해라." "…는 제발 하지 마라." 주로 이런 식인데 아침 일찍 나가 밤늦게 돌아오는 아들에게 "힘들제. 몸은 어떻노?" "뭐 불편한 건 없나?"라고 물으면 돌아오는 건 침묵이다. 기껏 해봐야 "몰라" "없어" 정도다.

학교에서나 집에서나 듣는 게 공부 이야기이다 보니 어쩔 수도 없겠다 싶다. "학생부종합도 줄이고, 수능도 절대로 바꾼다니까 남는 건 내신뿐이다. 정신 바짝 차리라!" "수학 포기하면 끝이다. 끝까지 놓지 마라" "목표가 있어야 한다. 그래야 자기주도학습이 된다 아이가!" 그래선지 이제 고1 된 지 석 달인데 벌써 고3 얼굴을 하고 있다.

이일균.jpg

그래도 아들 얼굴이 좀 펴질 때가 있다. 특히 친구들 만나기 직전에는 설렘으로 가득하다. 친구들 만나고 온 뒤에도 그 에너지가 조금 오래간다. 그렇게 놀고 오면 가족들과 밥 먹을 때가 잦은데, 그럴 땐 대화가 좀 된다. 그럴 때 밥 먹으면서 반주도 한 잔 곁들이며 나는 행복이란 말을 꺼낸다. 그래 네 행복한 얼굴이 참 좋다. 네가 언제 행복한지, 뭐할 때가 재미있는지 그걸 잘 알아라. 그게 진짜 공부다. 지금 하는 공부도 다 그런 과정 아니겠나. 열심히 해라. 이래저래 공부로 귀결시키는 내 논리가 가증스럽지만 어쩌겠나, 그게 내 수준인걸.

하지만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고, 슬프면 슬픔 그 자체에 빠지는 한국인의 멜랑콜리가 행복으로 이끌 수도 있다고 하지 않는가. 그것도 세계적 작가 알랭 드 보통이…. 그렇게 주절주절 행복을 말할 때 아들 표정은 이렇다. "행복하기까지 바라?"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