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정부에서 가장 두드러진 단어는 '창조경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창조경제는 과학기술과 산업이 융합하고, 문화와 산업이 융합하고, 산업 간 벽을 허문 경계선에서 창조 꽃을 피우는 것'으로 정의했다.

창조경제라는 개념은 영국에서 나왔다. 영국 정부는 1990년대 후반 제조업 쇠퇴에 따른 경제위기를 극복할 대안으로 '창조 산업'을 제시하며 13개 분야를 육성했고, 그 성과는 문화뿐 아니라 수출, 일자리 창출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 정부 역시 창조경제를 실현하고자 전국 17개 지역에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립했다. 형식적인 센터 배치와 대기업 자금에 의존한 운영, 전문성 결여 등 설립 과정과 성과에 비판이 끊이질 않았다.

국정농단 사태로 창조혁신센터 이미지는 바닥으로 떨어졌고, 일부 지역에서는 예산을 삭감하기도 했다. 그러나 업체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조금 더 지켜봐도 좋겠다.

'창업이 희망이다' 기획 취재차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4곳을 만났다. 청년 중심 창업지원으로 참여 기회를 얻기 어려웠던 우드로이현, 지역 업체라는 한계에 부딪혀 판로를 찾지 못했던 온새미로, 한 번도 상업화에 성공한 적 없는 혁신적인 기술로 외면받았던 이플로우, 아이디어는 있지만 발전시킬 방법을 몰라 막막했던 한별.

김해수 기자.jpg

이들은 창업이라는 깜깜한 터널 속에서 빛이 되어준 곳이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는 '중소벤처기업부'를 설치하고 창업 부문을 강화하겠다고 한 바 있다. 이제 걸음을 뗀 창조혁신센터가 창조경제 인재를 육성하고, 창업 생태계를 꾸리는 등 밑거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대로 활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